earticle

논문검색

儒家 仁개념의 변환구조 : 孔子, 孟子, 朱子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儒家仁槪念之變換構造

유가 인개념의 변환구조 : 공자, 맹자, 주자를 중심으로

임헌규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34집 2004.09 pp.5-3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儒家는 그 어느 학파보다도 이상적인 인간을 양성하기 위해서 무엇을 가르치고, 배우며, 나아가 인간은 어떻게 판단, 처신, 행동하여야 이상적인 인간이 되는지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이 문제에 관건이 되는 것이 바로 仁개념이다. 즉 유가는 인간의 본성은 仁이며, 따라서 仁의 체득과 실천이 당위적인 인간의 존재근거라고 주장한다. 그런데 공자 이전에 仁은 다양한 개별적인 덕목들 중의 하나였다. 그런데 공자는 仁을 보편적 덕이자 모든 덕목들의 종합적인 완성으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그는 仁의 실천방법으로 주로 소극적으로 진술하였지만, 忠恕, 즉 자기정립과 타자정립을 통한 仁을 실천을 강조하였으며, 仁은 우리 마음과 사랑이라고 하는 감정관 연관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맹자의 목적은 공자학설의 정초였다. 그래서 그는 “孺子入井“의 비유를 통해 인간에 순선한 감정인 “惻隱之心“이 무조건적이며 자발적으로 피어난다는 사실을 통해 仁이 인간 본성임을 증명하였다. 나아가 맹자 이후 분분한 논의만 있어 仁에 대한 명확한 名義가 정립되지 않았을 대 주자는 易經과 程子의 논의를 기초로 하여, 仁이 天地之心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마음의 덕이자 사랑의 이치라는 것을 분명히 밝혔다. 요컨대 본 본문에서 필자는 유가의 仁개념은 공자에 의해 보편적 덕으로 정립되었며, 맹자에 의해 四端에 기초를 두고 인간의 본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아나가 이 仁은 주자에 의해 형이상학적으로 정초되어 유가 仁개념은 완성되었다고 하는 점을 밝혔다. 나아가 공자는 仁의 실천에 주안점을 두었으며, 맹자는 四端이라고 하는 심리적 사실에 초점을 두고 인간본성으로서 仁의 존재를 증명하였으며, 주자는 형이상학적 궁극존재인 천지의 마음에서 유래한 마음의 덕으로서 仁의 존재에 초점을 두면서 그것을 사랑이라고 하는 감정을 피어나게 하는 근거로 정립하였다고 하는 점을 밝혔다.

중국어

仁是在儒家最高中的槪念. 儒家歷史上, 要是孔子最初定立了 仁是普遍存在的德, 就孟子證明了對人間本性比如說 “孺子入井 但是, 至于仁的由來, 他不是說精確地表明, 而是給暗示. 因爲 朱子以前漢唐儒學者, 活用孔孟的仁, 盡管應該都得說形而上學的定立和具體定義, 還是只不過有見解紛呈, 所以 朱子寫作〔仁說〕, 這分明了對'仁'槪念. 首先朱子規定把仁讓萬物生成的天地之心 人心取得懷"心之德”, 所以這由來說明了. 以后正在參照〔周易〕和程子的觀點表明, 朱子在固有體用論 主張仁的心德是愛之理. 如此 朱子主張 仁是出來 ‘天地之心’ 的 ‘心的德’ 又 ‘人德理’ 然后他批判 ‘仁是萬物一體的境地’ 和 ‘知學就是仁’ 的立場. 這理由因爲前者缺少方法論,后者混淆作爲全德仁和仁的智. 現在講〔仁說〕內容以后我們照看了對人間心的本性是仁朱子什證明了. 雖然對沒有聲音和行踪形而上學的人間本性不知道明白了 但在純粹心作用, 卽事實上有自己無條件心復燃“惻隱之心”的,在這里,人心本性是仁可以知道了.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보편적 덕으로서 仁 : 공자
3. 인간 본성으로서 확인, 증명된 仁 : 孟子
4. 형이상학적으로 정립된 仁 : 朱子
5. 요약과 결론
참고문헌
中問秒錄

저자정보

  • 임헌규 Lim HeonGyu. 강남대학교 신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