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흄의 자아동일성 개념

원문정보

Hume's Concept of Self-Identity

안세권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33집 2004.06 pp.129-15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self-identity in David Hume. Hume is well known for his denial of the existence of a self. But few people know the fact that Hume takes not only a negative but also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elf. By employing the experimental method expounded in A Treatise of Human Nature, Hume on the one hand exposes the fictitious nature of the substantial theory of the self, and on the other hand attempts to establish an empirical concept of self-identity as an alternative to it. Unfortunately, he faces a very difficult problem of the real connection of perceptions, and eventually falls into the 'labyrinth.' He confesses that he can never solve the problem of how those distinct perceptions can be united into a single unity. In this paper, after discussing both aspects of the self in Hume by using the method of text analysis, I argue that Hume can successfully escape from the labyrinth if he exploits the notion of consciousness which he neglected in the Appendix. Incidentally, consciousness is the very notion that John Locke has employed in his theory of personal identity. I show that memory, an essential function of the mind, which is in charge of uniting those perceptions, is able to handle the serious problem of the real connection with the help of the notion of consciousness which has the power of self-totalization.

한국어

이 논문의 목표는 데이비드 흄의 자아동일성 개념을 검토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흄은 자아의 존재를 부정한 철학자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흄이 자아에 대하여 부정적 입장만 취한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입장도 적극적으로 검토하였다는 사실은 잘 부각되지 않고 있다. 흄은 인성론에서 선포한 실험적 방법을 통하여, 한편으로 실체론적 자아 이론의 허구적 실상을 독창적 방식으로 노출시켰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체론의 대안으로서 흄 자신의 경험주의적 자아동일성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유사성과 인과, 그리고 상상력에 기초하여 구축된 그의 자아는 지각들의 실제적 결합이라는 난제에 부딪혀 헤어날 길 없는 ‘미궁’에 빠지고 만다.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지각들이 어떻게 하면 하나의 묶음으로 뭉쳐질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두고 흄은 자신의 힘으로는 이 문제를 결코 해결할 수 없다고 고백한다. 이 글에서 필자는 흄이 부정한 자아와 흄이 인정한 자아를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차례로 살펴본 다음, 흄이 소홀히 취급한 의식 개념을 그의 선배인 로크에서처럼 보다 적극적으로 개발한다면 저 미궁을 탈출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지각들을 결합하는 중요한 임무를 맡고 있는 기억이 자기통합적 기능을 지닌 의식의 도움을 받을 때 실제적 결합의 난제는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흄이 부정한 자아
3. 흄이 인정한 자아
4. 흄의 ‘미궁’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안세권 Segweon An. 계명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