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오웬스의 '우의' 이론과 포스트모더니즘

원문정보

Craig Owens`s Theory of Allegory and Postmodernism

최병길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28집 2003.03 pp.167-18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raig Owens h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 of postmodern culture having appeared from the late 1960s. He has determined the phenomenon as a transfer from nature to culture and from history to narrative, on the basis of theory of `allegory`, not being largely illuminated in the history of aesthetics or philosophy. His theory of `allegory` explains us the reason that allegory has not been the essence of a work of art in Romanticism or Symbolism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 Modernism, and that it is not applicable for the postmodern culture. He also has argued that appropriation, site specificity, impermanence, accumulation, discursivity, hybridization, eclecticism or fin-de-sie`cle phenomenon appearing in the postmodern art can be interpreted not by a uniform canon of Modernism, but only by his theory of `allegory.` He has classified such various art forms into three ones, i.e. image appropriation art, site specificity art and conceptual art. And he, in interpreting such art forms, has utilized various literary or philosophical theories such as deconstructive narrative theory by Derrida or semiotics by Saussure, etc. not by simple art theories. Therefore his theory of `allegory` seems to have spread a horizon of another methodology in interpreting the general, fin-de-sie`cle phenomenon which is contained in the whole postmodern cultures.

한국어

오웬스는 1960년대 말부터 나타난 포스트모던 문화의 특성을 규정하고자 `우의` 이론을 바탕으로 자연에서 문화로, 역사에서 담론으로의 전이 현상을 제시하였다. 그의 `우의` 이론은 모더니즘의 낭만주의나 상징주의에서 우의가 예술작품의 본질이 되지 못한 이유를 설명하고, 나아가 그것이 포스트모던 문화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는 또한 포스트모던 미술에서 나타나는 전유, 대지 특수성, 비영속성, 추론성, 교잡, 축적, 절충주의 형식도 그러한 획일적 규준이 아닌 자신의 `우의` 이론을 통해서만 해석이 가능하다고 했다. 그는 그 다양한 미술형식을 세 부류, 즉 이미지 전유 미술, 부지 특수성 미술과 개념미술로 분류하였다. 그는 그러한 미술형식들의 해석에 있어서 단순한 미술 이론들만이 아닌 데리다 등의 탈구조주의 화술 이론 흑은 소쉬르 기호학 등 다양한 문학, 철학 이론들과의 제휴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그의 `우의` 이론은 전반적인 포스트모던 문화가 가지고 있는 총체적, 세기말적 현상을 해석하는 또 다른 방법론의 지평을 전개했다고 보여진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근대 미학에서 우의의 위상
3.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우의의 당위성
4.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우의의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병길 Byung-Kil Choi. 원광대학교 환경조각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