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말타기에 대하여 —「인승마」 은유와 이이(李珥)의 리(理)—

원문정보

關于騎馬: 「人乘馬」 隱喩和李珥的理

이향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글은 주희가 이황이 리와 기의 관계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한 「인승마」 은유가 이이에 의해 거부되었다는 사실이 함축하는 성리학적 의의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리학에서 발견되는 「인승마」 은유가 일반적인 「말타기」 은유의 특수한 사례라는 사실, 다시 말해 이들이 모두 동일한 은유의 각각 다른 사용의 결과라는 점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근거로 ‘동일한 은유의 서로 다른 사용’이라는 현상이 은유적 사고에서는 일반적인 것이며, 이러한 ‘사용’의 다양성과 그에 근거한 의미의 다양성의 출현이란 현상에 대한 해명의 단서가 이미 비트겐슈타인의 후기 언어 이론에서 낱말의 다양한 사용과 이에 따른 의미의 다양성의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그러나 언어의 다양한 사용과 달리 개념적 은유의 다양한 사용은 근원 영역의 중복된 사용으로 말미암아, 근원 영역의 개념 영역에 포함된 핵심적 요소들이 반복적으로 목표 영역에서 드러나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말타기」 은유의 경우에 그것은 기수로 은유화되는 개념과 말로 은유화되는 개념 사이의 관계 속에 개입된 ‘힘’의 개념이라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이로부터 성리학적 「인승마」 은유 속에도 기수와 말로 은유화되는 두 개념 사이에 힘에 기반한 관계가 설정되어 있으며, 이이가 「인승마」 은유를 받아들이지 않았던 것은 리와 기 두 개념 사이에 ‘힘’이란 범주에 근거한 관계를 설정할 수 없다는 그의 이기론적 전제에 의한 논리적 귀결이라는 점을 밝혀 줄 것이다. 이 결론에 따르면 「인승마」 은유의 수용과 거부라는 차이는 단순히 하나의 은유에 대한 태도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이황의 리와 이이의 리가 같은 날말로 표현될 뿐 서로 다른 의미 내용을 가진다는, - 즉 하나는 ‘힘’이란 개념을 함축하고 다른 하나는 그렇지 못한 - 따라서 같은 낱말로 표현되기는 하지만 서로 다른 경험적 사태의 추상화일 수 있다는 철학적 가능성을 시사한다.

중국어

朱熹爲了描寫理氣關係而使用了‘人乘馬’的隱喩, 而李珥對這一隱喩取了否定的態度. 筆者關注這樣的情況, 試圖說明其哲學的意義. 爲了達到這一目的, 筆者提出了類似和‘人乘馬’的隱喩後, 追求了‘同一的隱喩之不同的使用方法’這一現象之中的共通點. 其結果就是: 筆者發現了‘人乘馬’的隱喩槪念里以人和馬所表現的隱喩化的槪念之間存在着從‘力’的槪念之角度探討的共通點. ‘人乘馬’的隱喩也是如此. 通過這一探討, 筆者推論了李珥對朱熹的‘人乘馬’的隱喩取否定的態度, 因爲在他的理氣論之體系中, 歸根結底就是在理氣關係當中, 尤其是在‘理’槪念當中, 它不能和‘力’連繫的. 這一推論說明了如下的結論: 和李滉在他的理氣論當中接受朱熹的‘人乘馬’的隱喩不同, 李珥的‘理’槪念里存在着相互不同的內含的可能性. 如果我們做與以前的硏究表明了李滉的‘理’槪念就是對良心的隱喩之抽象化相互對比, 就發現李珥的‘理’槪念里還包含了和良心不同的某種經驗的事態而隱喩的抽象化之成果.

목차

요약문
1.
2.
3.
4.
5.
6.
7.
8.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이향준 Hyangjoon Lee. 전남대 철학연구교육센터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