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의'와 공자 인학

원문정보

The concept of i(義) in Confucius' Jenlogy(仁學)

이경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studied the meanings and phases of i(義) in the Confucius’ Jenlogy system. As the result, this paper have had three main contents. First, the meanings of i.(義) that were argued by Confucius in Lunyu(論語) were classified into two parts. One another was the meaning of ‘tao-i(道義)’ that indicated moral principle for a practical act, and the other was the meaning of ‘dang-wei(當爲)’ that reflected moral obligation in the context of practice. Second, Confucius’ standpoint about the i(義). was examined precisely. Confucius more emphasized ‘dang-wei(當爲)’ than ‘tao-i(道義)’ in a teleological viewpoint so that held up the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s for the realization of ‘dang-wei(當爲)’.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i(義) and jen(仁) was confirmed for Confucius’ standpoint of Lunyu. To put it simply, it was the practice of i(義) that intended to realization of jen(仁) on one hand and it was jen(仁) that became a fundamental foundation of i(義) on the other hand in Confucius’ Jenlogy(仁學) system.

한국어

이 글에서는 공자가 주장한 ‘의(義)’의 의미와 위상을 공자 인학의 체계 속에서 규명한 것으로, 논의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공자가 주장하는 의는 올바름으로서의 도리(道理)와 마땅함으로서의 당위(當爲)를 포괄하지만, 공자는 근본적으로 도리의 의보다 당위의 의를 더 중시한다. 그러면서도 공자는 전체적으로 도리의 의와 당위의 의를 아우르는가 하면 또 그 안에서 도리 및 당위로서의 의를 물질적 재화[利]나 행위의 꾸밈 형식[禮]에 대한 윤리적 가치 판단의 준거로 제시한다. 공자의 이러한 논의는 윤리적 규범성과 실천적 당위성에 대한 반성적 자각과 인문주의적 성찰을 인간 주체 및 정치․사회 공동체의 토대 위에서 실천적으로 발전시켜 전개한 결과이다. 공자가 주장한 의(義)는 전체적으로 인간의 정치․사회적 규범성과 당위성을 동시에 포괄하면서도, 과정적으로는 올바름으로서의 도리를 전제로 마땅함으로서의 당위를 지향하고, 결과적으로는 도와 덕의 실현 더 나아가 전덕(全德)으로서 인(仁)의 완성으로 귀결된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의(義)와 불의(不義)의 의미
3. 공자의 관점
4. 의(義)와 인(仁)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경무 Kyoungmoo Lee. 서원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