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이론과 언어적 이론

원문정보

The Traditional View and the Linguistic View of A Priori Knowledge

한상기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49집 2008.06 pp.215-238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have been many views about the nature of a priori knowledge. The views about it by Plato, Descartes, Leibniz, and Kant can be called the traditional view. The traditional view holds that a proposition knowable a priori is necessary as opposed to contingent, that a cognitive agent’s grasping it or seeing it amounts to a justification for it, and that the justification is derived from reason, not from experience. The traditional view culminates in Kant’s assertion about synthetic a priori knowledge, viz., we can grasp the truth about the world without observing it. But the traditional view received severe attacks, especially from logical positivists. For example, A. J. Ayer criticized Kant’s view on the basis of the linguistic theory.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main points in the debate over the nature of a priori knowledg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traditional view and the linguistic view. In order to achieve the aim, I first explain and expose the connections among the three distinctions: a priori knowledge vs. a posteriori knowledge, necessary proposition vs. contingent proposition, and analytic proposition and synthetic proposition. Next, I discuss the content and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view, and move onto the linguistic view that was proposed as a replacement of the traditional view. Finally, I show that the linguistic view has its own problems.

한국어

선천적 지식의 본성에 대해서는 많은 견해가 있어 왔다. 플라톤으로부터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를 거쳐 칸트로 이어져 온 견해는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이론이라 부를 수 있다. 전통적 이론은 (1) 선천적으로 알려지는 모든 명제는 필연명제이어야 하고, (2) 어떤 명제의 필연성을 “파악하는 일”이나 “보는 일”이 어떤 사람에게 그 명제의 선천적 정당화를 제공하는 데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전통적 이론에 따르면, 선천적 정당화의 원천은 순수하게 이성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래서 전통적 이론은 칸트의 선천적 종합명제에 대한 주장, 즉 감각의 도움 없이 세계에 관한 진리를 파악할 수 있다는 주장에서 정점을 이룬다. 하지만 전통적 이론은 나중에 심각한 공격의 표적이 되는데, 특히 논리 실증주의자들에 의해 집중 공격을 받았다. 그 중에서도 에이어(A. J. Ayer)는 그의 언어적 이론에 기초를 두고 칸트의 견해를 비판했다. 이 논문은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이론과 현대의 언어적 이론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선천적 지식을 둘러싼 논쟁의 초점을 명료화하려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세 종류의 구별, 즉 선천적 지식 대 후천적 지식, 필연명제와 우연명제, 분석명제와 종합명제의 구별을 설명하고, 각 구별 간의 연관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런 다음 세 종류의 구별을 통해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견해의 요점과 난점을 드러내고, 전통적 견해를 비판하면서 제시된 언어적 이론을 살필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어적 이론 역시 궁극적으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선천적 지식: 역사적 배경
2. 세 종류의 구별
3. 선천적 지식에 대한 전통적 이론
4. 선천적 지식에 대한 언어적 이론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상기 Sangki Han. 전북대학교 철학과 교수/전북대학교 비판적사고와 논술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