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형원 철학에서 실리(實理)의 적용 방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Way to Apply the Theory of substantial reason in Yu, Hyong Won's Philosophy

서영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although Yu, Hyong Won's theory of substantial reason succeeded to the system and ultimate goal of Cheng-Zhu's theory of Li and Gi, it was different from Cheng-Zhu's in practical ways. Previous researchers have defined the thought of Yu Hyong Won as either a ‘Li-orientated thought’ in terms of affirming Cheng-Zhu study or a ‘GI-orientated thought’ in terms of denying one. Even though their opposing views, they all agree with this suggestion that Yu Hyong Won goes beyond Cheng-Zhu study by emphasizing the available practical and positive knowledges. However, I suggest that Yu Hyong Won's theory of substantial reason succeed to the philosophical system of Cheng-Zhu study in view of the fact that Yu Hyong Won emphasizes ‘the originality of LI’ and still pursues ‘the realization of moral ideal.’ Yu Hyoung Won suggests the direct and practical way which includes ‘morality,’ applying substantial reason to the law and institution while Cheng-Zhu views Li as ‘the ground of morality’ and tries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according to Li. Thus, Cheng-Zhu's idea of Li is changed and applied as a concrete social principle in Yu Hyong Won's view. Yu Hyong Won intends to make a state comfortable and tries to realize the moral ideal through realization of it's law and institutions based on tao. Yu, Hyong Won's philosophy makes sense for the following reason by applying the theory of substantial reason[實理] to an institution.: first, it shows that Cheng-Zhu's idea of Li has the possibility of being available in many levels. second, it suggests a new way to solve various practical problems by applying Li to the social levels.

한국어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유형원의 실리론이 정주 이기론의 체계와 궁극적 목적을 계승하며, 단지 그 실현 방법만을 달리했다는 점을 드러내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는 유형원의 철학을 두고 정주학을 긍정하는 차원에서 ‘리 중심적 사유’로 규정하거나, 정주학을 회의하는 차원에서 ‘기 중심적 사유’로 규정한다. 이렇듯 상반된 견해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모두 유형원이 현실 적용 가능한 실제적ㆍ실증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정주학을 극복’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필자는 유형원의 실리론이 ‘리의 본원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도덕 이상의 실현’을 여전히 지향한다는 점에서 ‘회의’와 ‘극복’이 아닌, 정주의 철학 체계를 그대로 계승한다고 본다. 다만 실리를 ‘법ㆍ제도’에 적용함으로써 ‘규범성’을 갖춘 실질적ㆍ직접적인 실현 방법을 제시했을 뿐이다. 이는 정주가 리를 ‘도덕적 근거’로 제시하고 ‘권유’를 통해 그 궁극의 목적을 이루려 했던 것과 다른 점이다. 이처럼 정주의 리는 유형원에 와서 구체적 사회 원리로 전환, 응용된다. 유형원은 도(道)를 담은 ‘법ㆍ제도의 실현’으로 국가의 안정을 이루고, 이를 기반으로 ‘도덕 이상’을 실현시키려 했다. 유형원 실리의 제도적 전개는 첫째 정주의 ‘리’가 여러 차원으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해준다는 점에서, 둘째 ‘리’를 사회적 차원으로 전환시켜 응용함으로써 다차원적인 현실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는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리'(理)의 철학적 이해
1) '리' 중심적 사유로의 전환
2) 리기 불리ㆍ부잡(不離ㆍ不雜)적 관계
3. 정주(程朱) '리'의 적용 방식 대한 반성적 인식
1) 분리적 관점에서 합일적 관점으로
2) 도덕적 근거에서 제도적 근거로
4. '실리'(實理)의 의미와 제도적 전개
1) 제도적 의미의 '실리'
2) 실리의 객관적 인식과 제도적 실현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영이 Youngyi Seo. 전남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