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프루스트의 인간적 시간과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기분에 관한 고찰

원문정보

Eine Betrachtung uber die anthropologische Zeit bei Proust und die onthologische Stimmung bei Heidegger

박유정, 유제분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41집 2006.06 pp.107-134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글은 하이데거의 ‘기분’개념을 가지고 프루스트의 시간이해를 하이데거의 해석학적 방식으로 재구성한 것이다. 프루스트의 시간은 ‘인간적 시간’으로서 인간의 삶에 기초한 독특한 감각체험에서 비롯된 고유한 시간체험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마들렌느의 과자를 먹는 것과 같은 특정한 순간에 이루어지는 감각체험에서 잃어버린 과거를 현재에 되찾는 가운데 만나게 되는 자아의 발견이다. 따라서 프루스트의 시간탐구는 자아의 탐구이고, 이는 감각체험이 불러온 특수한 인간적 기분을 통해 고유한 시간체험이 형성됨으로써 발견된 인간적 시간을 특징으로 한다.그런데 프루스트의 시간탐구는 근원적으로 존재탐구에 근거하고 있다는 것이 하이데거의 주장이다. 즉 프루스트의 시간탐구에서 발견되는 인간적 자아는 자신의 존재론적 기반을 가지고 있고, 그러한 존재기반에서 볼 때 프루스트의 시간과 자아를 가능하게 하는 인간적 기분의 뿌리도 제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생과 실존 및 인간에 대한 철학적 탐구들과 마찬가지로 프루스트의 인간적 시간 또한 근원적으로 존재의 시간에 존재론적으로 뿌리박고 있고, 근원적인 존재물음이 감행될 때 그 자체의 의미지평 전체가 열어 밝혀지는 것이다.이런 의미에서 하이데거는 20세기 철학이 발견한 인간의 지평을 존재의 지평으로 심화시키는 가운데 인간-철학뿐만 아니라 프루스트의 인간탐구를 넘어서서 그 존재론적 뿌리를 천착하였다. 이로써 하이데거의 존재탐구는 인간존재의 근원을 제시하는 형이상학을 구축하였다고 평가될 수 있다. 그렇지만 논자는 이러한 하이데거의 존재론이 한편으로는 프루스트의 시간과 당시의 인간 논의들을 넘어서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여전히 현존재를 통한 선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자신이 비판한 논의들보다도 어쩌면 존재 그 자체의 생동성을 놓치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의구심을 갖게 된다.

기타언어

Mit dieser Arbeit kommt eine neu vergleichende Interpretation zwischen der anthropologischen Zeit bei Proust und der onthologischen Stimmung bei Heidegger zur Geltung. In dieser Interpretaion ging es um das Verhältnis des Menschen zur Zeit. Dieses wurde von ihr unter dem Begriff der anthropologischen Zeit und der onthologischen Stimmung analysiert. Beide vertreten im Rahmen der Philosophie des menschlichen Verständnis sehr änliche Positionen. Während Proust in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die eigentliche Zeiterlebnis in dem besonderen Gefühlserlebnis auf dem Grund des menschlichen Lebens herausarbeitet, ist Heidegger’ Auffassung viel schwieriger zu fassen. Die Zeit bei Proust ist die menschliche Zeit, d.h. die Zeit als Zeiterlbebnis vom Menschen. Darum ist die Proustische Zeit-Untersuchung die Mensch-Untersuchung. Aber menschliche Zeit bei Proust ist ursprunglich in onthologischer Zeit gewurzelt. Indem Heidegger diesen menschlichen Horizont kritisiert, versucht er ihn durch seine Seinsfrage zu überwinden. In dieser Überblick ist die menschliche Stimmung bei Proust in der Seinstimmung bei Heidegger begründet. Damit können wir einen richtigen Zugang zum Verständnis der anthropologischen Zeit bei Proust und der onthologischen Stimmung bei Heidegger gewinnen..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프루스트와 인간적 시간
1) 잃어버린 시간
2) 되찾은 시간
3. 하이데거와 존재론적 기분
1) 현존재와 기분
2) 존재론적 기분과 시간성
4. 인간적 시간과 존재론적 기분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저자정보

  • 박유정 Youjeong Park. 부산대학교 철학과 강사/부산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 유제분 Jeboon Yu. 부산대학교 철학과 강사/부산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