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호원의 인성론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Hu Yuan’s theory of human Nature

이원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u Yuan, a great educator and philosopher in Northern Song dynasty, made up for the weak points in the theory of the three grades of human nature of Han Yu, in terms of the theory on goodness of human nature. Han Yu showed a inconsistency in that, on the one hand, he said all man are born with different human natures, and on the other hand said morally good human nature is a universal. First, Hu Yuan ontologically supported the theory of goodness of human nature on the ground of the theory of primordial force, and argued that all man are born with a good human nature. Second, an innately good human nature can be transformed into three grades of it by a posteriori learning. In this way, he can maintain the theory of goodness of human nature, and at the same time rectify the theory of Han Yu. But Hu Yuan's human nature theory finally became similar with the theory on goodness of human nature and badness of feeling, which had been formulated by Li Ao, who was a Gu-wen movement theorist in Tang times. The latter could not explain why bad feelings can be produced from morally good nature, and showed a negative attitude toward a social practice. While Hu Yuan regarded human nature as good, he thought that human's a posteriori behavior and feeling can produce an evil, so that his theoretical frame may accord with the Li Ao's. Therefore, Hu Yuan's human nature theory may also share the weaknesses of the Li Ao's.

한국어

북송의 교육가이자 철학자인 호원은 성선설의 입장에서 당말 고문운동가인 한유의 성삼품설을 수정하고 보완한다. 한유는 사람들이 서로 다른 품급의 본성을 타고 난다고 말하는 동시에 오상의 선한 본성을 보편적 본성으로 상정하여 이론적 비일관성을 보여 주었다. 먼저, 호원은 원기설에 입각하여 성선설을 존재론적으로 뒷받침함으로써 사람은 누구나 선한 본성을 타고 난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그 다음, 선천적인 선한 본성이 인간의 후천적 학습에 따라 성인, 현인, 백성의 세 가지 품급의 본성으로 분화된다고 보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성선설을 견지하면서도 성삼품설을 수정하고 보완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호원의 인성론은 성선정악설에 접근하고 만다. 성선정악설은 인간 본성은 선하되 그로부터 파생하는 감정은 악하다는 것으로서, 어떻게 선한 본성으로부터 악한 감정이 생겨나는지를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이론적 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성선정악설은 현실적 감정의 소멸을 통한 본성의 보호를 목표로 삼기 때문에 출세간적 실천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호원은 인간 본성은 선하되 그의 후천적 행위와 그 감정은 악을 산출할 수 있다고 보아, 그의 구도는 성선정악설과 일치한다. 따라서 그의 인성론 역시 성선정악설이 지닌 문제점을 지닐 가능성이 매우 높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원기설에 입각한 성선설
3. 성삼품설의 수정 및 보완
4. 성선정악설로의 접근
4. 호원 인성론의 문제점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원석 Wonseok Lee. 한신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