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순자의 인성론에 담긴 사회철학적 의미

원문정보

The Social Philosophical Meaning of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황호식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57집 2010.06 pp.111-13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re have been great studies on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Still, scholars propos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theory without general agreements among themselves. In my opinion, it is partly because they just tend to focus on the argument of “xing e (性惡).” They have been trying to understand Xunzi's philosophy with the premise that “xing e” is the foundation on which his other arguments are based. It leads them to find difficult in a logical link between Xunzi's theories of bad human nature and moral rules. Therefore,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has been degraded as self-contradictory or even the chapter “Xing E (性惡)” has been considered as inauthentic. However,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possesses two folds of connotations: “xing e” and “weishan (僞善).” In my opinion, we can grasp better what Xunzi tried to convey through his theory of human nature only when considering both the first connotation and the second one, which has been ignored. Accordingly, this essay intends to disclose the true meaning of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by examining its two folds of connotations, as pointed out earlier. In order to achieve my purpose, I shall apply a social philosophical approach to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First of all, with regard to Xunzi's argument of “xing e”, I shall discuss why Xunzi considers human's boundless desires as bad in a social context on the basis of his view of humans as social beings. Second, concerning another argument of “weishan”, I shall examine how social rules are established in order to regulate the infinite human desires, and Xunzi's belief that only Confucian rituals and righteousness (禮義) can transform bad human nature to good one. I think that this social philosophical method will shed a new light on Xunzi's theory of human natu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metaphysical analysis of it.

한국어

지금까지 순자의 인성론에 대해서는 아주 잘 탐구되어 왔다. 그럼에도 순자의 인성론에 담긴 의미를 둘러싸고 다양한 해석이 표출되고 있다. 그 배경에는 ‘사람의 본성이 악하다’(人之性惡)는 주장에만 초점을 맞춰온 연구경향도 한몫을 하는 듯하다. ‘성악’(性惡) 개념에 토대를 두고 연역해나가는 방식으로 순자의 철학체계를 이해하려다 보니, 악한 본성과 도덕규범 사이의 관계를 정합적으로 설명해내기가 어렵다. 그래서 순자의 인성론은 모순을 지닌 주장으로 폄하되거나, 심지어 「성악」편이 위작(僞作)이라는 주장까지도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순자의 인성론에는 ‘사람의 본성이 악하다’는 주장만이 아니라 ‘악한 본성을 선하게 변화시키는 것은 인위이다’(其善者僞也)는 주장도 담겨있다. 필자는 그 동안 곧잘 간과되어온 후자의 주장을 함께 고려할 때 순자가 자신의 인성론을 통해 말하려 했던 진의가 올바로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성악’에 담긴 의미만이 아니라 ‘위선’(僞善)에 실린 의미도 함께 밝혀나감으로써 순자의 인성론이 지닌 의미를 온전히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필자는 순자의 인성론에 대하여 사회철학적 접근을 시도한다. 먼저 ‘성악’에 담긴 의미를 분석할 때는 사람을 사회적 존재로 파악하는 순자의 인간관에 기초하여 욕망의 무제한성이 사회적 맥락에서 악으로 규정되는 과정을 살핀다. 이어서 ‘위선’에 실린 의미를 분석할 때는 욕망의 무제한성에서 비롯하는 사회규범의 대두 과정과 여러 사회규범 중에서 오직 유가적 예의만이 악한 본성을 선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순자의 이념적 확신을 짚어본다. 이렇게 사회철학적 접근에 의해 밝혀질 순자의 인성론에 담긴 의미는 기존에 형이상학적 접근을 통해 밝혀온 것과는 색다른 면모를 보여줄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순자의 인성론에 대한 사회철학적 접근의 필요성
3. '성악' 주장에 담긴 의미
1) 욕구의 본유성과 욕망의 무제한성
2) 사회적 존재로서 인간과 한정된 욕망 충족 수단
4. '위선' 주장에 담긴 의미
1) 인성의 변화 가능성과 사회규범의 필요성
2) 욕망 조절과 충족을 위한 바람직한 사회규범으로서 예의에 대한 확신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호식 Hosik Hwang. 성신여자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