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 Singer의 환경윤리

원문정보

On P. Singer's Environmental Ethics

김학택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52집 2009.03 pp.181-20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inciple of equal consideration of interests is a basic principle in P. Singer's ethics. Applying it to the problem of environment, he develops his environmental ethics. He argues that even within a traditional human- centred moral framework based on the argument of future generations, the preservation of our environment is a value of the greatest possible importance. But he asserts that it is arbitary to hold that only human beings are of intrinsic value. He contains all sentient creatures who have interests and introduces the argument of future generations. Therefore his environmental ethics fosters consideration for the interests of all sentient creatures, including subsequent generations stretching into the far future. He claims that to extend an ethic in a plausible way beyond sentient beings is a difficult task. He criticizes on P. Taylor and Deep ecology that it is difficult to give an intrinsic value nonsentient living things and ecosystems. So the divide between sentient and nonsentient is to that extent a firmer basis for a morally important boundary than the divide between living and non living things or between holististic entities and other entities. After all, he concludes that we should confine ourselves to arguments based on the interests of sentient creatures, present and future, human and nonhuman. His environmental ethics has many problems. But we have to give attention to a logical consistency of his ethics and his descriptions on our pratical attitudes, such as frugality, extravagance, the habit on food and so on, to environmental problems.

한국어

이해관계의 평등 고려의 원칙은 싱어의 윤리학 전반에 일관적으로 흐르고 있는 핵심적 원칙이다. 그는 이것을 환경문제에도 일관적으로 적용시켜 환경윤리를 전개한다. 그는 전통적인 인간중심적 윤리체계도 미래세대의 논증을 보강함으로써 자연보호가 중요한 가치라는 것을 입증한다. 그러나 그는 도덕적 고려 대상을 인간으로 한정하는 것은 자의적이라고 주장하여, 이해관계를 가지는 모든 존재, 즉 감각적, 의식적 존재를 모두 포함시킨다. 여기에 미래세대의 논증을 도입하여, 그의 환경윤리는 먼 미래의 다음 세대를 포함해서, 모든 의식적인 피조물의 이해관계에 대해 고려함으로써 성립된다. 또한 그는 생명 중심적 사고와 심층생태주의에 대해서 생명이나 생태계 전체에 본래적 가치를 부여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라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의식적 존재와 그렇지 않는 존재의 구분이 도덕적 고려대상의 확실한 기초이며, 환경윤리도 의식적 존재의 이해관계에 관한 논의로 국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의 환경윤리는 그가 테일러나 심층생태주의에 제기한 문제만큼이나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그의 윤리학에서의 논리적 일관성과 사치, 절약, 음식습관 등 환경문제에 관한 우리의 실천적 태도에 대한 그의 서술은 주목할 가치가 있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이해관계의 평등 고려 원칙과 도덕 공동체의 확장
3. 싱어의 동물 중심적 환경윤리
4. 생명 중심적 사고와 심층 생태주의에 대한 비판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학택 Haktaek Kim. 대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