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토마스 아퀴나스의 존재개념을 언어분석적으로 해명

원문정보

The Explanation of Aquinas' being from a linguistic point of view

이정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very student of St. Thomas Aquinas is impressed by the distinction he draws between the way things are and the way we think and speak of them. The identification of the two is what Thomas means by Platonism ; their distinction lies at the basis of his epistemological realism. It is the distinction that he has in mind in order to justify the real distinction between existence and essence. If existence is not predicated in existential propositions this is because predicates are concepts. and there is no concept of existence. What then is being asserted in existential judgements? However, existence, the core of being reached at the very outset of the intellectual life, can be attained in the judgement when we return the abstracted essence to its existence. Our act of judging reflects in its structure the structure of reality where essence is composed with existence. Thomas assigns three meanings to esse : it can mean essence, the actuality of essence, the truth of a proposition. There is no point in speaking of existence as a predicate. If existence can only be conceived in a conception of an existential judgement (which does not involve a conceptus of existence), any talk of the predication of existence would be concerned with the predication of a proposition. Thus far we have considered the nature of the existential proposition against the background of an interpretation of Thomas Aquinas which claims that existence cannot be a predicate because it cannot be conceived. Existence, on this view, is attained intellectually only in the judgement. Being is known in our judgement as the ground of truth because proposition truth depends on the real actuality of being. Transcendental turn and linguistic turn cannot explain why truth should follow the principle of actuality of esse.

한국어

존재는 우리 지성 안에 가장 자명한 것으로 알려진다. 존재는 명제진리의 현실적 충족근거다. 지성은 판단을 통해 존재를 진리로 알아듣고 수용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념의 추상화 능력은 존재 현실성에 대해 가능적인 관계에 있게 된다. 지성의 존재에 대한 참여는 가능적으로 규정되는 개념이 그것을 앞서가는 근본 현실성에 대해서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방식으로만 그 타당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이다. 이 점에서 현실태의 가능태에 대한 관계는 존재가 규정하는 술어의 진리충족으로 드러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토마스는 이것을 지성의 존재에 대한 참여로 규정한다. 언어철학과 선험철학은 이런 토마스의 관계를 주관성의 지평에서 전도시키고 있다. 하지만 오늘의 언어전회는 존재론적 방향전환을 통해 결국 규정하는 술어의 진리연관을 존재에 기초지음으로써 존재론적 방향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는 이 세 입장간의 근본 관계를 재조명하지 않을 수 없다. 진리는 존재의 근원 현실성에 기초한다. 개념의 술어화하는 규정은 존재현실성을 판단을 통해 완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이 목적의 완성은 결국 개념화하는 술어의 대상관련과 규정충족을 통해서만 가능하게 된다. 그렇다면 존재의 근원현실성은 지향성의 근거로서가 아니라 진리충족의 제일근거로서 작용한다는 것이 드러나게 된다. 이 관점에 입각해서 토마스는 개념의 술어화 규정을 존재현실성에 대한 참여로 정당화하고 있다. 칸트는 가능성 현실성 관계를 주관적 전회를 통해 마련했지만 진리차이의 가능성이 어디서 유래하는 가를 충분히 밝히지 못했다. 언어전회 역시 칸트의 지평에 있는 한 이 오류를 극복할 수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진리문제를 의미문제로 환원하려는 본래의 입장을 수정해서 결국 존재론적 방향전환을 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비교의 준거틀
2. 현실화 원리(the principle of actuality)로서의 존재
3. 본질(essence)의 규정원리
4. 존재 현실성과 명제 진리의 관계
5. 판단명제가 존재에 대해 취하는 이중의 관계: 진리충족과 비진리 가능성
6. 초월(토마스의 존재)가 선험(칸트의 Transcendental)의 차이
7. 미완의 결론을 내리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정일 Chungil Lee. 명지대, 한경대, 남서울대, 가톨릭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