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플라톤의『국가』에 나타난 미메시스(mimēsis) 개념

원문정보

The concept of mimēsis in Plato's Republic

김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ntends to make plain the concept of ‘mimēsis’ in Plato’s Republic. But Discussion of mimēsis in Republic 10 has not consistency, and the concept of mimēsis itself is not clearly defined. Thus the concept of mimēsis is explained by clarifying this inconsistency and unclearness. Discussion of mimēsis in Republic 10 has self-contradictory, and is not consistent with discussion of mimēsis in Republic 3. Republic 3 banishes only some imitative poetry, Republic 10 opens with the statement that all imitative poetry has been excluded from the good state, but nevertheless allows some forms of mimēsis, namely hymns and encomia. And it seems that Plato fails to define correctly the concept of mimēsis. Mimēsis means ‘impersonation’ in Republic 3, but it means 'representation’ in Republic 10. Nevertheless Republic 3 and Republic 10 contain a theory of mimēsis in visual and poetic arts that is remarkably consistent and detailed in certain respects. In these books Plato defines explicitly many characteristics of these different imitative arts. Therefore this paper grasps the concept of mimēsis through the analysis of Republic 3 and 10, and so largely consists of four part. First, it clarifies the definition of mimēsis. Second, it distinguishes ‘mimēsis with knowledge’ from ‘artful mimēsis’, and defines these mimēsis. Third, it discusses poetry as a kind of artful mimēsis by comparing painting. Last, it studies objects imitated of artful mimēsis.

한국어

이 글은 플라톤의 『국가』에 나타난 ‘미메시스’(mimēsis, 모방) 개념을 분명히 밝히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하지만 『국가』에서 미메시스와 관련된 플라톤의 논의는 겉으로 보기에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고, 미메시스 개념 자체도 분명히 규정되어 있지 못하다. 따라서 ‘미메시스’ 개념은 이런 비일관성과 불분명함의 해명을 통해 밝혀질 것이다. 10권의 미메시스에 대한 논의는 자기모순을 갖고 있는 것 같으며, 3권의 ‘미메시스’에 대한 논의와도 일관성을 갖지 못하는 것 같다. 3권에서는 일부의 모방적 시만이 추방되어야만 한다고 하는 반면, 10권에서는 모든 모방적인 시는 배제되어야만 하지만, 신들에 대한 찬가들과 훌륭한 사람들에 대한 찬양들은 받아들여야만 한다고 하기 때문이다. 또한 플라톤은 미메시스를 제대로 정의하지도 않는 것 같다. 미메시스는 3권에서는 ‘흉내’를, 10권에서는 ‘묘사’를 의미한다. 그럼에도 3권과 10권은 어느 면에서는 상당히 일관되게 회화 및 시에 관한 미메시스 이론을 기술하고 있다. 3권과 10권에서 플라톤은 명백히 이 두 미메시스의 많은 특징들을 정의한다. 따라서 이 글은 『국가』 3권과 10권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플라톤의 미메시스 개념을 파악하는 것으로, 크게는 네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첫째는 미메시스의 일반적 정의를 밝히는 것이며, 둘째는 예술적 미메시스와 지식에 근거한 미메시스를 구별해서 규정하는 작업이다. 셋째는 예술적 미메시스의 한 종류인 시를 회화와 비교하면서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예술적 시의 모방대상을 논구한다.

목차

요약문
1. 머리말
2. 미메시스의 정의
3. 예술적 미메시스
1) 장인의 제작물의 미메시스
2) 영상의 미메시스
4. 지식에 근거한 미메시스
5. 예술적 시
6. 예술적 시의 모방대상
7.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태경 Taekyoung Kim. 성균관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