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孟子의 心性論 硏究

원문정보

孟子之心性論硏究

맹자의 심성론 연구

연재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孟子는 孔子의 ‘爲仁由己’의 정신을 계승하여, 도덕실천의 가능근거를 인간의 내면에서 확립하고자 하였다. 맹자는 告子가 말한 ‘生之謂性’의 인성론에 반대하고, 仁義禮智의 도덕원리가 인간에게 선천적, 보편적으로 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이것은 인간과 기타 존재의 차이점을 價値의 차원에서 규명한 것이다. 맹자는 인간의 固有한 善性의 존재를 不忍人之心, 四端之心을 통해 설명한다. 四端之心의 발휘를 통해 인간은 자산의 내면에 잠재해 있는 本性의 구체적인 의미를 자각할 수 있다. 이것은 本心의 反省과 自覺을 통해 인의예지로 대표되는 도덕원리를 스스로 파악하여 확립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사고와 행위를 스스로 조절해 나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인간이 선천적, 보편적으로 善한 本性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인간에게 固有한 本心이 있음을 의미하며, 本心의 활동은 곧 本性의 실현을 뜻한다. 따라서 맹자에게 있어 本心과 本性은 그 실질적인 의미에 있어 일치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맹자는 도덕실천의 원동력인 本心, 四端之心의 확충과 배양을 중시한다. 本心의 작용이 상실되지 않도록 보존해야 할 뿐만 아니라 본심의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수양해야 한다. 儒家는 맹자의 性善說을 통해 도덕실천의 가능근거를 인간의 내면에서 확립할 수 있게 되었고, 인간의 道德的 自律性과 主體性을 강조하는 맹자의 철학은 후일 陸象山․王陽明이 건립한 心學의 기초가 되었다.

중국어

就先秦儒學的發展階段而看, 孔子創立了以‘仁’爲代表的思想體系, 而到孟子和荀子時期漸次深化而擴大其理論的內涵和領域. 不過, 孔子未嘗明確地指明踐仁的內在而普遍的根據是什麽. 所以孔子之後, 圍繞著道德實踐的可能根據或成聖成賢的內在根據發生孟子和荀子之間的理論分岐, 由此促進儒家進行對於人間的心性的深入硏究. 孟子反對告子所謂‘生之謂性’的觀點主要理由就是用來像‘生之謂性’那樣的說法決不能顯示出人類和動物之間價値上的差別性. 在孟子那裏, ‘本性’是人之爲人的根本理由. 從存在的方面來看, 無論男女老少, 或善人惡人, 所有人類都先天地固有著本性. 從價値的方面來看, 本性旣是道德實踐的可能根據, 又是人生之眞正價値所在. 在孟子看來, 仁義禮智並不是從外面注入的, 而是人類固有的本性. 這就意味仁義禮智作爲代表而包含所有道德原理, 已經爲人所固有, 所以能够說人類之本性是善的. 至於人心之問題, 到孟子, ‘心’範疇才正式被引入中國傳統哲學之中心. 在孟子之思想體系中, ‘四端之心’, ‘本心’, ‘良知’等諸槪念占有著樞紐性的地位. 孟子把‘心’闡明爲能眞實而具體地呈現人類之本性的道德心. 這就是說, 人類之本性以潛在狀態內在於主體, 因此必定通過本心之自覺和反思, 才會呈現於日常生活裏. 依孟子之思路來看, 人類能够通過盡量發揮本心之功能而體會到本性在於自己裏面. 這就是說 , 實踐道德的可能根據從天轉移到人類的內部. 由此看出, 在孟子哲學裏, 人類能够由本心的自覺和反思而確立自律的道德原則, 而且自主而自發地實踐具體的道德規範.

목차

요약문
1. 서론
2. 仁에 머물고 義를 따름
3. 生之謂性과 仁義體祉의 性
4. 不忍人之心과 四儒之心
5. 良知와 良能
6. 盡心, 知性과 知天
7. 결론
참고문헌
中文提要

저자정보

  • 연재흠 延在欽. 중앙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