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교양교과 G-KLAC 제언 -문화적응을 목적으로 한 교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Proposal ‘G-KLAC’ of Liberal Ar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Focused on Cultural Adaptation

임수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effective university based liberal arts education to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hopes of suggesting the building of G-KLAC. The G-KCLA in this context means a fundamental liberal arts curriculum that emphasizes Korean studies--one that aims to provide liberal arts education (liberal arts curriculum, liberal arts college), built and operated by a current domestic university for first year international students. Even though an appropriate amount of understanding and training in their major’s curriculum is needed for students to have a chance at a successful university life, to say nothing of their need to adapt to a school which will surely differ from their previous one, the current university system provides little to no recogni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who have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from their domestic counterparts. Establishing adequate supporting strategies and providing an effective education curriculum for students who are adapting to a new university are essential tasks in any educational environment. To promote a successful life of studying abroad, this research proposes the G-KLAC modal, which can embrace two aims of liberal education: 1) fundamental education for major knowledge, and 2) adapting education to suit university life. Chapter 2 organizes the curriculum changed process for international students through research of precedence study. Chapter 3 analyzes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hat is offered to current international students, and chapter 4 proposes structuring the principles of G-KLAC, as well as provides some examples. If universities can enhance not only the basic interpretation abilities of Korean among their international students, but also their reading ability to integrate the Korean culture in a broader context, students should be better able to resolve several problems on their own. Furthermore, we expect this approach to become an essential part of any basic liberal arts curriculum for the future university stud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domestic or foreign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 대학(교) 외국인 유학생에게 효과적인 기초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일환으로, 대학생활 적응교육을 목적으로 한 G-KLAC구축을 제언하는 데 목적을 둔다. G-KLAC는 현재 국내 대학(교)에서 구축⋅운영되고 있는 내국인을 위한 교양교육(Liberal Art Curriculum, 또는 Liberal Art College)을 외국인 유학생에게 맞춰 1학년에 집중적으로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 글로벌(Global)-한국교양교과과정(Korea Liberal Art Curriculum)을 뜻한다. 최근에 대학생들이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전공교과의 올바른 이해와 숙련의 비중만큼, 대학생활의 적응 필요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대학(교)에서는 자국대학생 과는 다른 문화적 배경과 조건을 가진 외국인유학생에게 문화적 기초적응교육에 대한 인지가 거의 전무(全無)한 상태이다. 2019년 현재, 이미 국내에 유입된 15만 여명에 육박한 외국인유학생들에게 적합한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할 뿐만 아니라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기초교육 교과 제공 역시 가장 선행해야 할 과제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성공적인 유학생활을 도모하기 위해 G-KLAC모 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2장에서는 선행연구사 검토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들을 위한 교과가 변화된 과정을 정리하고, 3장에서는 경기도 소재 38개 대학교 중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가장 활발한 두 대학교의 외국인 유학생 대상 커리큘럼 현황을 사례로 들어 현재 그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교양교육 커리큘럼을 분석하는 반성적 접근을 통해, 4장에서는 G-KLAC 구축원리와 모형사례를 제안한 다. 이는 단편적인 어학교육을 통한 언어에 대한 단순한 해석능력이 아닌, 전후맥락 및 기저에 깔려있는 언어문화를 통합한 독해능력을 성장시킨다면, 여러 문제점에 대해 스스로가 적극적인 의지를 갖고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내외국인 경계를 떠나서 차세대 대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기초교양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교양교과 현황
4. 적응교양교과 G-KLAC 구축 제안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수경 Lim, Su Kyung. 단국대학교 교육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