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팔종성법의 실현 양상과 음운론적인 해석

원문정보

The Realization and Phon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Eight Coda Rule

이동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Hunminjeongeum Jongseonghaes eight coda rule, the coda chracter ‘ㅅ’ and ‘ㄷ’ are marked separately. For this reason, there is a tendency to treat the sound value of the coda /ㅅ/ as an fricative [s]. However, from various aspects, it is reasonable to see the sound value of the final sound /ㅅ/ as an unreleased stop [t˺]. First, in relation to the neutralization of the coda /ㅈ/, /ㅊ/ and /ㅅ/, there is no phenomenon that /ㅈ/, /ㅊ/ is neutralized with [s] in any language in the world, which means that the sound value of /ㅅ/ is unreleased stop [t˺]. Also we can confirm that the sound value of the coda /ㅅ/ is unreleased stop [t˺] from the following; the chang of the coda chracter ‘ㅅ’ and ‘ㄷ’ such as ‘ ~ ’, the process of forming the ending of the ‘--’ and the combination of coda chracter ‘ㅅ’ and the initial sound of the next syllable. Since the nasal notation of / ㄷ/ has not been seen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for a whil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phonetic value of the coda /ㅅ/ was an fricative [s] because the nasal notation of /ㅅ/ is not found in the 15th century literature. The addition of the coda /ㅅ/ as ‘思’ in “ChosunKwanyeog-eo” is difficult to take as the sound value of ‘思’ as an fricative [s] in that the ‘思’ of ‘禿禿麽思’ in 『Nobakjibram』 is interpreted as representing the unreleased stop [t˺]. All of these circumstances are in line with the explanation that ‘ㅅ’ belongs to the rapid closed tone in Jongseonghae.

한국어

훈민정음 종성해의 팔종성법은 받침 ‘ㅅ’과 ‘ㄷ’을 구별하여 적도록 한다. 이 때문에 종성 /ㅅ/의 음가를 외파음 [s]로 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볼 때 종성 /ㅅ/의 음가는 불파음 [t˺]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먼저, 음절 말 /ㅈ/, /ㅊ/, /ㅅ/의 중화와 관련하여 /ㅈ/, /ㅊ/가 [s]로 중화되는 현상은 전 세계 어느 언어에도 없으며, 이 는 /ㅅ/의 음가를 불파음 [t˺]로 볼 때만 설명이 가능하다. 또한 ‘  ~   ’과 같이 받침 ‘ㅅ’과 ‘ㄷ’이 혼기되는 예가 있다는 점, 객체 높임 선어말 어미 ‘- -’이 형성되 는 과정을 통해서도 음절 말 /ㅅ/의 음가를 불파음 [t˺]로 볼 수 있다. 사이시옷 및 관 형격 조사 ‘ㅅ’은 물론 ‘ 다,  다’ 등 어간 말 자음군의 ‘ㅅ’, ‘읏듬’과 같은 단일어는 물론 ‘ 돌다’와 같은 합성어의 ‘ㅅ’ 등이 다음 음절의 초성과 결합하여 ㅅ계 합용병서 를 이루는 점도 음절 말 /ㅅ/의 음가가 불파음 [t˺]라는 사실을 잘 보여 준다. /ㄷ/의 비 음화된 표기가 문헌에서 한동안 노출되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ㅅ/의 비음화된 표 기가 15세기 문헌에 나오지 않는 것을 통해 음절 말 /ㅅ/의 음가가 외파음 [s]였다고 보기는 어려우며, 「조선관역어」에서 음절 말 /ㅅ/를 ‘思’로 첨기한 것도 이 외에 다양 한 첨기자가 있었다는 점을 통해 외파음 [s]라는 증거로 삼기 어려우며, 『노박집람』의 ‘禿禿麽思’(투투맛)의 ‘思’가 불파음 [t˺]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는 점에서도 ‘思’의 음가를 외파음 [s]로 보기 어렵다. 이러한 모든 정황은 종성해에서 ‘ㅅ’이 입성자에 속한 다고 설명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팔종성법의 내용과 종성 표기의 변화
3. 종성 /ㅅ/의 음가
4.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동석 Lee, Dongseok.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3,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