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패션 크라우드펀딩 성공에 미치는 영향 요인 : 사회적 가치와 제품 가치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Fashion Crowdfunding : Focusing on Social Value and Product Value

정남주, 김창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conducted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value and product value on the success of crowdfunding when start-up companies in the fashion field performed crowdfunding. Success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540 fashion projects conducted at Tumble Buck, which had the largest proportion of fashion items among domestic crowdfunding sites, were targeted. Through the consensus method of experts with crowdfunding experience in the fashion fiel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roduct value such as design, price, material, storytelling, brand, function presence, etc. for each project was identified, and social value, design, price, quality, storytelling, brand, function. The effect of the image factor on crowdfunding was confirm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quality and image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social valu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success of crowdfunding. Among product values, design, price, storytelling, brand, and functional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ccess of crowdfunding, but quality and video factor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ashion startups need to emphasize design, price, storytelling, branding, and functional elements when conducting crowdfunding.

한국어

본 연구는 패션분야 크라우드펀딩 시행 시 창업기업의 사회적 가치와 제품 가치가 크라우드 펀딩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국내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 중 패션아이템의 비중이 가장 높은 텀블벅에서 진행된 패션 프로젝트 540개를 대 상으로 하였다. 패션분야에서 크라우드펀딩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 합의 방식을 통해 프로젝트별 로 디자인, 가격, 소재, 스토리텔링, 브랜드, 기능 유무 등 제품 가치 유무를 파악하였고 사회적 가치와 디자인, 가격, 품질, 스토리텔링, 브랜드, 기능, 영상요소가 크라우드펀딩에 미치는 영향 을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회귀분석결과, 품질, 영상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사회적 가 치는 크라우드펀딩 성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제품 가치 중 디자인, 가격, 스토리텔링, 브랜드, 기능요소가 크라우드펀딩성공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품질과 영상요소 는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 스타트업이 크라우드펀딩을 진행할 시 디자인, 가격, 스토리텔링, 브랜드, 기능요소를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남주 Jeong. Namju. 계명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글로벌e-Business창업학과 석사
  • 김창완 Kim, Changone. 계명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벤처창업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