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n a nonverbal and verbal level in online dance education, and structuralism symbol analysis, an exploratory analysis, was appli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nverbal communication types were presented as appearance, mobile emoticons, voice and spatial communication, and they were building a biomaterialized environment even without direct physical contact. Second, in terms of verbal communication methods, communication through online communities could be divided into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verbal communication. Third, the structural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that can be discussed online and offline were divided into dedicated communication and efficiency, and the differences were discussed. We hope more studies on online communication will continue in the future and hope that this study will accumulate as theoretical data on online communic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무용교육에 있어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비언어적, 언어적 차원에서 탐색해 보고자 시도 되었으며 탐색적 분석인 구조주의적 기호분석이 적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언어적 소통유형 은 외모, 모바일 이모티콘, 음성, 공간 커뮤니케이션으로 제시되었으며 직접적인 신체접촉 없이도 생체화된 환경 을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언어적 소통방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의 경우 독립적인 소통과 상호의존적인 언어소통으로 구분해 볼 수 있었다. 셋째,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논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차이는 헌신적 소통과 효율성으로 구분해 그 차이가 논의되었다. 향후 온라인 소통에 관한 더 많이 연구 들이 지속되길 바라며 본 연구가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적 자료로 축적되길 기대해 본다.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
2. 자료수집 및 분석
3. 연구의 윤리성 및 타당성
온라인 무용 수업에서 비언어적,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따른 학습자의 유형별 특징
1.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2.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3. 온・오프라인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적 차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