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술심리 관점을 적용한 전시 감상에서 관람객의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원문정보

A Concept Mapping Applying Art Psychology Perspective of Visitors’ Self-reflection Experiences in Exhibitions

정희주, 임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lassify, and conceptualize the self-reflection experience perceived by visitors in the exhibition based on the art psychology perspective. 8 participants with experience in exhibition visits participated in an exhibition-related program based on art therapy theory, and then concept mapping was used. A total of 53 key statements was obtained from conducting interviews on the participants’ exhibition visit experiences. Participants classified the key statement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contents and evaluated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themselv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lassified statements using MDS(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visitors’ self-reflection experience applying the art psychology perspective appeared in two dimensions (‘Sensory Aspect – Cognitive Aspect’ and ‘Internal Exploration – External Expansion’) and categorized into six clusters. Secon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out of the six clusters, ‘Active Self- Explorat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and then in the order of ‘Self-Expansion through Engagement,’ ‘Cathartic Experience,’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Others,’ ‘Clarifying Emotion and Psychological needs’ and ‘Self-Reflection and Reevaluation.’ This study confirmed the content and importance of visitors experiencing self-reflection in the exhibition visits from the perspective of art psycholog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provide practical material for exhibition-related program development based on art therapy theory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necessary for psychological intervention to exhibition visitors.

한국어

본 연구는 미술심리 관점을 적용한 전시 감상에서 관람객의 자기성찰 경험에 대한 개념적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관 관람 경험이 있는 성인 8명을 대상으로 미술치료 이론을 근거로 한 전시연계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개념도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전시 감상의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여 총 53개의 핵심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이후 53개의 핵심 진술문에 대하여 연구 참여자들 을 통해 유사성에 따른 분류작업과 각 진술문에 대한 중요도를 직접 평정하도록 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심리 관점을 적용한 전시 감상에서 관람객이 인식하는 자기성찰 경험은 ‘내부 탐색-외부 확장’과 ‘감각적 반응–인지적 반응’이라 는 2개의 차원으로 나타났으며, ‘몰입을 통한 자기 확장’, ‘정화 경험’, ‘타인 이해 및 인식’, ‘정서 및 욕구 명료화’, ‘능동적 자기 탐색’, ‘자기반영 및 재평가’ 등 6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각 진술문의 중요도를 평정한 결과 ‘능동적 자기탐색’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몰입을 통한 자기 확장’, ‘정화 경험’, ‘타인 이해 및 인식’, ‘정서 및 욕구 명료화’, ‘자기반영 및 재평가’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작품에 대한 미술사 정보라는 외적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관람자 개인의 감정과 경험이라는 내재적 정보를 통해 감상했을 때 자기성찰을 경험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점은 미술관이라는 공공의 장소에서 미술의 치유적 속성을 활용한 예방적 차원의 심리치료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며, 일상 속에서 심리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 도구
3. 연구 절차 및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관람객이 인지하는 자기성찰 경험의 차원과 군집
2. 관람객이 인지하는 자기성찰 경험의 중요도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희주 Jeong, Hee-Ju.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미술치료전공 석사
  • 임나영 Lim, Na-young. 가천대학교 특수치료대학원 미술치료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