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 음악지도서 수록 피아노 반주 악보의 특징 : 5-6학년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Characteristics of Piano Accompaniment Scores in Teachers' Guidebooks for Elementary Music Textbook : with a Focus on the 5th and 6th Grade

김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piano accompaniment scores in the the teacher' guide books of 5th and 6th grade music textbooks and provide their tendencies and implications. Four of the eight textbook typ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133(66.5%) and 67(33.5%) of total 200 pieces had piano and Janggu accompaniment, respectively; second, the most popular type of accompaniment was accompaniment with no melodies in 63(47%), accompaniment with melodies 36(27%) and mixed accompaniment included folding and unfolding harmonies according to each time, four, eight, and triple beats, Latin rhythms including polka, swing, and calypso, and Korean traditional beats; third, general children's songs were the most in the textbooks at 88(66%) of total 133, being followed by global folk songs(215), popular music at 17(13%), and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 at seven(5%) in the order. As for the use of chords in each piece, 48(36%) of 88 genera children's songs used primary triads, and the other 40(30%) did other chords. All the global folk songs mainly used primary ones.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were all based on Western triads with the piano usually serving as a percussion instruments; and finally, 120(90%) of 133 pieces had an introduction, three(2%) had an interlude, and 22(17%) had a postlude. Introductions tended to borrow the vocal and accompaniment parts; interludes tended to borrow some of songs; and postludes tended to end accompaniment along with a song. As for expression marks, all of the piece had an overall tempo notation with few of them having a notation for partial tempo changes. Of all, 51(38%) had dynamic marks 45(34%) of them having a mark for partial dynamic changes.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accompaniment scores that can be easily utilized in a actual music clas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음악 5-6학년 지도서 수록 피아노반주악보 분석을 통하여 그 경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체 8종 지도서 중 4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첫째, 피아노와 장구 반주 비율은 전체 200곡 중 피아노반주 133곡(66.5%), 장구반주 67곡 (33.5%)이었고, 지도서별로 고른 비율을 보였다. 둘째, 반주법 종류와 반주형태에서, 반주법 종류 는 가락 없는 반주 63곡(47%), 가락 있는 반주 36곡(27%), 혼합 반주 34곡(26%) 순을 보였다. 가창수업에서 제재곡 익히기 반주를 위해 이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반주법 형태는 각 박자에 따른 모음화음, 펼침화음을 비롯해 4비트, 8비트, 트리플리듬, 폴카, 스윙, 칼립소등의 라틴리듬, 국악장단 등이 있었고, 지도서에 따라 수업에 쉽게 활용할 있는 실용적인 것과 음악적 표현 위주 로 접근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제재악곡 종류는 전체 133곡 중 일반동요 88곡(66%), 세계민 요(21%), 대중음악 17곡(13%), 국악동요 7곡(5%)순이었다. 각 악곡의 화음 사용은 일반동요 88 곡 중 주요3화음 중심 48곡(36%), 그 외 화음 사용은 40곡(30%), 세계민요는 모두 주요 3화음 중심이었고, 대중음악은 주요3화음 외 화음 사용 비율이 높았다. 국악동요는 모두가 서양 3화음 을 근간으로 피아노가 장단을 위한 타악기 역할에 치중되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대중음 악과 일반동요 중 일부는 증, 감, 텐션화음 등이 있어, 원곡과 함께 편곡을 통한 쉬운 악보편집이 요구된다. 넷째. 전주/간주/후주는 133곡 중 전주 120곡(90%), 간주 3곡(2%)와 후주 22곡(17%)이 었다. 전주는 가락 및 반주부 차용한 것, 간주는 노래성부의 일부 차용한 것, 후주는 노래가 끝나 면 반주도 함께 끝나는 경향을 보였다. 나타냄말에서 전체 빠르기는 모든 악곡에서 표기된 데 비해 부분적 빠르기 변화는 미미하였고, 전반적 셈여림 표기는 51곡(38%), 그 중 부분적 셈여림 변화 표기는 45곡(34%)이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방법
Ⅳ. 5-6학년 지도서 피아노 반주 악보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서경 Seo-kyung Kim. 부산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