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백제 도성도로와 지방도로의 비교

원문정보

Comparison of Capital and LocalRoads of Baekje

이용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tudies on Baekje roads had been conducted since the 2010s. However,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capital region of Baekje. Thus, this article included the roads in rural areas; moreover, the present work performed a comparative study of the roads in the capital and rural areas. For the study method,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nstruction method , track width, and width of the road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confirm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oads in the capital and rural areas. For a general characteristic of roads in Baekje,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using the ground surface as it is (II) was mainly used compared to the method of creating the road by excavating the ground surface (I).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apital as well as rural areas complied with the guidance of “Zhouli Kaogongji” a record of Jurye’s government organization. Meanwhile, the difference was confirmed between the roads in the capital and rural areas with their road width and construction method. Width of a road was regulated by “Zhouli Kaogongji” based on the status of regions, which also corresponded with the contents of the record. In particula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roads in the capital and rural areas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methods.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drainage systembetween the capitalroads and ruralroads, confirming that there were various differences between regions and hierarchies.

한국어

백제 도로유구 자체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2010년대가 되어서야 이루어졌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주로 도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방에서 확인된 도로유구와 최근 조사된 도로유구를 포함하여, 도성과 지방 간의 비교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도로의 축조공법(築造工法)·궤폭(軌幅)·노폭(路幅)을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도성과 지방 간의 유사성과 함께 상이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백제도로의 전반적인 특징으로는 지면을 굴착하여 조성한 방식(Ⅰ)보다 지면 그대로를 이용한 방식(Ⅱ)이 주로 사용하였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성과 지방 모두 궤폭과 노폭에서 『周禮考工記』의지침을 준수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周禮考工記』에 따르면 승거(乘車)의 규모가 궤폭 6척 6촌, 수레너비 8척으로 명시되어 있는데, 고고학 자료에 분석을 통해 이를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제후국은 노폭 7궤를 넘기지 못한다 하였는데, 노폭에 대한 분석결과 7궤가 넘는 도로는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도성과 지방도로는 노폭과 축조공법에서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노폭의 경우 『周禮考工記』에서 지역의 위상에 따라 노폭을 규제하였다 하였는데, 이는 분석한 내용과 일치하였다. 그리고 도성과 지방도로는 축조공법에서 확연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축조공법은 지면변형과 성토 유무에 따라굴착(Ⅰa), 굴착성토(Ⅰb), 지면활용(Ⅱa), 성토노체(Ⅱb)의 4가지 방식으로 분류하였는데, 시기의변화보다 지역별 차이가 큼이 확인되었다. 먼저 도성에서는 성토노체(Ⅱb) 공법이 다수 확인된 반면지방에서는 성토노체(Ⅱb) 공법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고, 비교적 굴착(Ⅰa) 공법이 다수 확인되었다. 그러나 도성에서는 굴착(Ⅰa) 공법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도성도로와 지방도로간에는 배수시설 등에서도 차이를 보여, 지역과 위계에 따른 여러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I. 머리말
II. 백제 도로유구 현황 및 분석
1. 백제 도로유구 현황
2. 도로유구 속성별 검토
III. 백제 도로유구의 특징과 지역성
1. 백제 도로유구의 특징
2. 백제 지역별 도로유구 비교
I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용욱 Lee, Yong Wook. (재)전라문화유산연구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