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형이상학』 K 3장에 나타난 존재론의 원래적 형식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of the Ontology in the K 3 of Aristotle’s Metaphysics

김요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Metaphysics K 3 Aristotle pointed out that beings were not used equivocally and in virtue of nothing common, but related in the third way. Since they have common reference, beings fall under the definition of being, even though they have no common name. But a science of being in the Metaphysics K 3 is decisively denied in the Eudemian Ethics I 8. Ontology is impossible according to that passage because the things called beings are homonyma. They do not form on genus. In the Categories nothing can be outside of the categories. Even being itself is not outside. It runs through all categories. To what can all being refer in common? Without the pros ho there is no pros ti relation, there follows the denial of the possibility of ontology as a science, even in the loose sense of the word. The important question is how he could do this in K 3, especially in view of his denial of ontology in the Eudemian Ethics. For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I am going to examine the meaning of ὄν ᾗ ὂν in K 3 and consider how this became the basis of Aristotle's ontology. Secondly I will check the difference between the ontology of ὄν ᾗ ὂν in K 3 and the ontology of Ousiology. Finally I will explain how the concept of Plato's ‘communion of genera' influenced to Aristotle's ontology in terms of common reference.

한국어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 K 3에서 있는 것들이 이음동의어도 아니고 동음이의어도 아닌 제3의 방식으로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그것들은 있음이라는 공통 이름을 갖지 않지만 공통된 관계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있음으로 간주될 수 있다. 따라서 그는 주장한다. 그러나 『형이상학』 K 3의 존재론 가능성은 『에우데모스 윤리학』 I 8의 존재론 불가능성과 대립된다. I 8에 따르면 존재론은 성립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있는 것들은 동음이의어들이어서 하나의 유개념을 형성할 수 없어 공통적 관계항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또한 『범주론』에서 그는 모든 있는 것들은 범주들로 분류되며 그 어떤 것도 범주들 밖에 존재할 수 없고 심지어 있음 그 자체도 범주에 속한다고 주장한다고 있기 때문이다. 관계항없이는 상호 관계가 존재할 수 없으며 따라서 느슨한 의미라 하더라도 학문으로서 존재론의 성립 가능성은 부정되게 된다. 그렇다면 그가 『에우데모스 윤리학』에서 존재론을 부정하면서도 K 3에서 어떻게 존재론을 수립할 수 있었을까?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첫 번째 K 3에 나타난 ὄν ᾗ ὂν 개념의 의미를 살펴 보고 이것이 어떻게 존재론의 기초가 되는지를 고찰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 『형이상학』 K 3의 ὄν ᾗ ὂν 존재론과 Γ 2의 실체 존재론의 구분을 살펴보고 『에우데모스 윤리학』의 반론을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K 3에 영향을 주고 있는 플라톤의 유개념들이 교섭에 관한 설명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목차

요약문
I. 들어가면서
II. ??????에서 ?의 의미
III. ?????? : 추상과 존재자적(ontic) 측면
IV. 존재론을 입론하는 K 3의 논증
V. 『에우데모스 윤리학』에서 존재론의 부정과『형이상학』 K 3에서 존재론의 수립
VI. 『형이상학』 K 3에서 존재론을 수립하는 논증과 Γ 2에서 수립하는 논증
VII. K 3의 아리스토텔레스 존재론 개념과 플라톤의 유개념 교섭 이론
VIII. 나가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요한 Johann KIM. 전북대 철학과, 비판적 사고와 논술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