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화엄오교장』「삼성동이의」에서 법장의 구상

원문정보

Fa-tsang’s conception in 「the meaning of identity and difference of Trisvabhāva」 『Hua Yen Wu Jiao Zhuang』

조배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heory of Trisvabhāva(三性說) is dissolved into a new organization in 「the meaning of identity and difference of Trisvabhāva(三性同異義)」 『Hua Yen Wu Jiao Zhuang(華嚴五敎章)』. The theory of Trisvabhāva is absorbed into its doctrinal classification. Through this process of reconstitution, Fa-tsang(法藏, 643-712) intends to show that the Hua-yen school is superior to the Newer-translated Vijñāpti-matratā-school(新唯識學派). Considering the meaning of dharamatā・function(體用), nature・phenomenon(性相) and principle・thing(理事) from various angles can present a coherent interpretation of Fa-tsang's intentions. This leads the Round Doctrine of the One Vehicle(一乘圓敎) to establish supremacy over the others. Under Fa-tsang's demonstration that partiality and reliablity and roundness are identifiable and equatable on the reality, we can find grounds to support the dharma-dhātu of all phenomenal things are mutually unhindered and infused(事事無碍法界). This dharma-dhātu prepares whole space to extend everything without any disturbances. On these processes, Fa-tsang doesn't clearly express the dharma- characteristics-sect(法相宗), but does check and embrace it. Fa-tsang's frame can make it possible to arrange whole playground which activates the principle of phenomenal identity(相卽) and mutual entry(相入). Hua-yen thought's basis can be established in the Fa-tsang's conception. Fa-tsang uniquely declares that each of Trisvabhāva has two meanings. These ideas can make it possible to demonstrate that Trisvabhāva is in the identical realm(三性一際). Fa-tsang doesn't directly announce his doctrinal classification in 「the meaning of identity and difference of Trisvabhāva」. Looking at Trisvabhāva from the concept of dharamatā(體)・nature(性)・principle(理), each of Trisvabhāva can be placed with the rank in his doctrinal classification position. In Chinese thoughts, nature(性) is the concept where includes principle(理). And dharamatā(體) is the bowl which contains principle(理). So, it shows a comprehensive relationship among dharamatā(體), nature(性) and principle(理). Such a relationship shows congruous doctrinal classification in 『Hua Yen Wu Jiao Zhuang』. Like space metaphor, it can be suggested that each of dharamatā(體), nature(性), and principle(理) should arrange Tathāgatagarbha School, Mādhyamaka School and Vijñāptimatra School in order. Here too, Fa-tsang purpose to show the superiority of Hua-yen doctrine. It can reflect that Fa-tsang's doctrinal classification is conntated in 「the meaning of identity and difference of Trisvabhāva」. Fa-tsang intends to prove that the Hua-yen doctrine is the best teaching to cover any other schools. Fa-tsang proposes to formulate a concept of dharma-dhātu. The concept of dharma-dhātu which Fa-tsang uses is whole space which absorbs all others. The concept of dharma-dhātu is to make room for everything all. Dharma-dhātu is the world which arises from dharamatā, nature, and principle. All things appear on the dharma-dhātu. Fa-tsang maps out holistic harmonious dharma-dhātu like non-obstructive limitless canvas. Fa-tsang's thought is based on the theory of Mind-only(唯心論). One mind(一心) is likened to mirror that is the metaphor of the ontological ground and the cognitive system. One mind; the dharma realm of the one reality(一眞法界), is the matrix which is founded on Fa-tsang's conception in 「the meaning of identity and difference of Trisvabhāva」『Hua Yen Wu Jiao Zhuang』.

한국어

법장(法藏, 643-712)이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 「삼성동이의(三性同異義)」에서 의도하는 바는 유식삼성설(唯識三性說)을 해체(解體)하여 자신의 교판체계(敎判體系)로 흡수하는 과정을 제시하는 것이다. 화엄종사(華嚴宗師)로서 가지고 있는 법상종(法相宗)에 대한 강한 경쟁의식을 고려한다면, 진망교철(眞妄交徹)・성상융회(性相融會)・이사무애(理事無碍)의 무진연기(無盡緣起)의 세계가 가능하게 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부분으로 「삼성동이의」를 이해하는 것이 법장의 의도에 부합할 것이다. 법장은 독특하게 三性 각각을 두 가지로 나누어 六義로 제시한다. 법장의 논의방식은 六義를 매개(媒介)로 하여 眞・依他・所執의 三性이 무애(無碍)임을 논증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三性과 六義의 의미를 중국불교의 입장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해 보는 것이 가능하다. 중국철학의 體, 性, 理의 개념과 體用, 性相, 理事의 관점을 다각도로 고려한다면, 『화엄오교장』 전체의 교상판석과 관련한 논의의 연장으로 「삼성동이의」를 이해할 수 있다. 법장의 삼성동일제(三性同一際) 논증은 이사무애(理事無碍)를 근저로 하여 사사무애(事事無碍)가 가능한 전일적(全一的) 무대(舞臺)를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논증과정에서 법장은 법상유식(法相唯識)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던져 제쳐두며 견제(牽制)하지만 포함(包含)하고 넘어가는 방식인 포월전략(抱越戰略)을 구사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구상(構想)된 법계(法界)라는 틀 안에서는 상즉(相卽) 상입(相入)의 논리가 작동하며 중생계의 다양한 삶이 전개되는 연기(緣起)의 구조를 구성해 내는 것이 가능하다. 화엄학은 본래(本來) 청정(淸淨)한 마음 위에서 세계의 전개를 조화(調和)와 총체(總體)의 시각에서 이해한다. 화엄학에서 무한과 영원으로의 발산(發散)은 곧 본래 모습에로의 수렴(收斂)이 되는 것으로, 무한과 영원의 세계관은 어떠한 차별과 분별을 더하여도 하나의 무한과 영원으로 포월(包越)하는 구조이다. 법장의 ‘三性同異’ 논의는 이러한 화엄학의 세계관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틀이 된다.

목차

요약문
I. 들어가며
II.  법장의 의도
III. 「삼성동이의」의 구성과 새로운 해석 가능성
1. 삼성을 보는 다양한 관점의 가능성
2. 중국불교 관점으로 삼성동이 이해 시도
3. 『화엄오교장』의 교판과 삼성동이
IV. 삼성동이와 법계연기
1. 삼성 동일제 논증의 의의
2. 동일제로서 삼성의 의미
3. 법계연기의 무대
V.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배균 Baegyun Cho. 전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