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리스토텔레스주의와 토마스주의에 관한 비교 연구 - 친애(amicitia)와 애덕(caritas)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On the Study of Comparision Aristotelianism with Thomism - focused on amiticia and caritas -

이상일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68집 2013.03 pp.103-13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en we study St. Thomas’ moral precept, except for the understanding of Aristotle’s moral doctrines, It’s hard to say that we understand it correctly, because there is a approximal relationship between Aristotle’s doctrines and St. Thomas’ moral precepts. St. Thomas has confidence that Aristotle’s doctrines would be very good schema which are conducive to the development of human intellectuality, if they were correctly understood and not distorted. But we can have a doubt about St. Thomas’ these assertions. As his confidence, I wonder whether he succeeded in synthesizing or harmonizing between Aristotle’s doctrines and Christianity or he failed and distorted doctrines of Aristotle. In this behalf, I’m going to find proper answer revolving around between Aristotle’s ‘Amicitia’ and St. Thomas’ ‘Caritas’. To achieve this, First, I’ll find about emphasis on relevance between two different doctrines and perfection of friendship. Here first, I’ll find about St. Thomas’ general doctrines of amicitia and caritas, and Seo Byeong-chang’s opinion who has general opinion about this. Next, about St. Thomas’ doctrines of amicitia, caritas and his opinion, I’ll carry on a counterargument revolving around Harry V. Jaffa and R. Z. Gauthier’s opinion. Second, I’ll go through revolving around pars and totum theory of St. Thomas. Here, I'll examine briefly about participatio theory of P. Rousselot which based on St. Thomas’ pars and totum theory and doctrines, and set forth a counterargument against St. Thomas’ and P. Rousselot’s opinion using the Harry V. Jaffa’s and Thomas M. Osbrone’s opinion. Consequentially, I'll form a conclusion that the harmony or synthesis between both sides insisted by St. Thomas and Thomists are failed by St. Thomas’ distorting Aristotle’s amicitia.

한국어

우리가 성 토마스(St. Thomas)의 도덕규범을 연구함에 있어서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의 도덕에 관한 교설들에 대한 이해를 제외하고서 성 토마스의 도덕규범들을 제대로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에 관한 교설들과 성 토마스의 도덕규범 사이에 존재하는 아주 밀접한 관련성 때문이다. 성 토마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이 제대로 이해되고 왜곡되지만 않는다면, 그것은 인간 지성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대단히 훌륭한 체계임을 확신하고 있었다. 그런데 우리는 성 토마스의 이러한 주장에 대해서 하나의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확신과 같이 성 토마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과 그리스도교 사이의 종합 또는 조화에 성공했을까? 아니면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설들을 왜곡시켰고 결국 그의 종합 또는 조화는 실패했을까?이에 대하여 본 연구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amicitia)와 성 토마스의 애덕(caritas) 사이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이에 대한 적절한 해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 두 가지의 상이한 교설들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강조와 친애의 완전함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여기에서는 먼저 성 토마스의 친애와 애덕에 관한 일반적인 교설과 이에 대하여 일반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학자들 중에서 서병창의 주장에 대해서 알아보고, 다음으로 이러한 성 토마스의 친애와 애덕에 관한 교설과 그의 견해에 대하여 제이퍼(Harry V. Jaffa)와 고티에(R.-A. Gauthier)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반론을 전개할 것이다. 둘째로, 성 토마스의 ‘부분(pars)과 전체(totum)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여기에서는 성 토마스의 ‘부분과 전체 이론’과 성 토마스의 이러한 교설을 토대로 하고 있는 루슬로트(P. Rousselot)의 ‘참여(participatio) 이론’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이어서 성 토마스와 루슬로트의 견해에 대하여 제이퍼(Harry V. Jaffa)와 오스번(Thomas M. Osborne)의 주장들을 중심으로 해서 반론을 전개할 것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자는 성 토마스와 토마스주의자들이 주장하는 양자 사이의 조화 또는 종합이 성 토마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친애를 왜곡시킴으로써 결국 실패했다는 결론을 내릴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친애(amicitia)와 애덕(cantas)
1) 일반적인 견해
2) 반론
3. 부분(pars)과 전체(totum)
1) 일반적인 견해
2) 반론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상일 Sang-Ill, Lee.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