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역』의 언어관 - 계사하전 12장의 육사(六辭)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關於周易的言语观

백은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논문의 목적은 『주역(周易)』의 「계사하전(繫辭下傳)」 12장을 근거로 주역의 언어이론을 탐색하는데 있다. 『주역(周易)』의 「계사하전(繫辭下傳)」 12장에 나타난 육사(六辭)의 이론은 우번(虞翻)과 후과(侯果)와 최근(崔觐) 혜동(惠棟) 등의 이론에 따르면 언어[六辭]는 괘(卦)라는 패턴을 통해서 이해할 수 있고, 아울러 육사(六辭)는 반란하려는 부끄러운 감인(坎人)의 말과, 의심하는 갈라지는 이인(離人)의 말과, 말 수가 적은 강건한 간인(艮人)의 말 등으로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호원(胡瑗)은 언어의 위(位)를 강조했는데, 즉 언어가 감정[情]과 마음[心]과 사려[思慮]와 뜻[志]이란 사위(四位)와 관련이 있다고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그는 육사(六辭)를 분석하는데 언어가 부끄럽게 된 것은 정(情) 때문이고, 언어가 갈라 진 것과 교사(矯詐)한 것은 마음 때문이며, 말이 많아진 것은 사려(思慮) 때문이고, 말이 비굴하게 된 것은 지(志) 때문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주자(朱子)는 언어(言語)는 단지 사고(思考)와 관계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아울러 주역의 괘효사는 래지덕(來知德)과 왕부지(王夫之) 등은 이간(易簡)의 이(理)에 따라 언어를 분석할 수 있다고 본다. 즉 래지덕(來知德)과 왕부지(王夫之) 등은 사(辭) 즉 언어에는 험조(險阻)가 있기 때문에 이 험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건(乾)의 담대한 이(易)의 道와 곤(坤)의 소심한 간(簡)의 이(理)를 사용할 것을 말한다. 또 험조(險阻)를 극복하기위해 이간(易簡)의 언어 사용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중국어

这篇论文的目的是以《周易》中的<系辞下传>第12章为根据, 探索周易的言语理论。在《周易》中的<系辞下传>第12章中出现了六辭的理论。要理解六辭理论可以根据虞翻和侯果, 崔觐以及惠棟等人的理论, 将六辭按照卦的模式去理解就可以了。同时也可以通过 将要叛乱的阴柔的坎人的话, 心存疑心想要分裂出去的離人的话, 还有说话少很阳刚的艮人的话来把握六辭的含义。胡瑗则强调言语的位, 也就是可以通过言语和感情, 内心, 思虑, 以及心志(所谓的四位)之间的联系来综合的分析言语。 这样的话我们就可以把六辭理解成:话变多阴柔由于感情所致;话变的多疑, 又想要分裂出去是由于矫诈的内心所致;说开始变多是由于思虑所致; 话变的卑屈低贱是由于心志所致。 但是朱子却认为言语只是和思考有关系, 去其他的没有关系。同时周易的卦爻辭也可以根据来知德和王夫之两位学者的 易簡中的理来分析言语。来知德和王夫之等学者认为辭就是:由于言语中出现了险阻, 所以要克服险阻就要使用乾中的大胆阳刚地易的道和坤中的小心谨慎地簡的理。还有他们认为要想克服险阻就必须要使用易簡的言语。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언어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1) 유가의 일반적인 언어이론
2) 텍스트의 문제
3. 언어에 대한 상수학적 해
1) 육사(六辭)는 인간유형[六人]의 반영
2) 육사와  괘효사
5. 의리역적 해석
1) 언어와 감정
2) 이간(易簡)의 理
6. 결론
참고문헌
中文抄錄

저자정보

  • 백은기 Paik, EunKy .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