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치심과 죄의식의 구분 - G. Taylor와 H. B. Lewis의 이론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istinctions between Shame and Guilt based on G. Taylor and H. B. Lewis

김요한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66집 2012.09 pp.249-27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shame and Guilt based on G. Taylor and H. B. Lewis. Even if a distinction between self-evaluation which focus on what we are and those which focus on what we do is tenable in the abstract, this distinction will not furnish an absolute criterion for the separation of shame from guilt in ordinary usage. Although in our language shame and guilt can often be distinguished phenomenological by virtue of their different associations and connotations, the fact that popular usage fails to provide an adequate distinctions in certain contexts indicates an area in which no effect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cepts exists. But even if one were to disagree with this, and uphold the Lewis-Taylor approach, one should be clear how slight a difference of emphasis this postulates between the two concepts. In the sphere of the evaluation of one's own conduct in moral terms the difference involves little more that a shift in ideation from "I should not have done that" to "I should not have done that". Such a shift clearly does not amount to much; it certainly does not amount to a distinction between a concept that is fundamentally non-moral and one that is, or between one that is solely concerned with external sanctions and one that is based on individual conscience.

한국어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수치심과 죄의식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개념이 아님을 주장하고 있다. 비록 “우리가 누구인가?”에 초점을 맞추는 자아-평가(self-evaluation)와 “우리가 무엇을 하는가?”에 초점을 맞추는 자아-평가의 구분이 추상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할지라도, 이 구분은 일상적인 용법에서 수치심과 죄의식을 구별하는데 절대적인 기준을 제공할 수 없다. 비록 일상 언어에서 수치심과 죄의식이 종종 그것들의 다른 결합들과 함의들에 의해서 현상학적으로 종종 구분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적인 언어 용법은 어떤 문맥들에서는 적절한 구분을 제공하는 일에 실패한다는 사실은 두 개념들 사이에 어떤 실제적인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지시하고 있다는 점이 분명하다. 그러나 비록 누군가 이 견해에 동의하지 않고 루이스 테일러(Lewis-Taylor)의 접근 방식을 유지한다 할지라도 우리는 이것이 두 개념들 사이에 매우 사소한 차이를 형성하고 있다는 사실을 명백하게 알 수 있다. 도덕적인 용어들로 우리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는 영역에서 그 차이는 관념상 “내가 그 일을 하지 말았어야 했다”에서 “내가 그 일을 하지 말았어야 했다”로의 강조점의 이동 그 이상을 함의하지 않는다. 그런 강조점의 이동이 명백하게 엄청난 차이를 유발한다고 주장할 수 없을 것이다. 그것은 확실히 근본적으로 비도덕적인 개념과 도덕적인 개념사이의 구분과 동일한 것도 아니고 오직 외적 제재와 관련된 개념과 개인적인 양심에 기초하고 있는 개념사이의 구분과 동일한 것도 아니다.

목차

요약문
I. 들어가면서
II. 테일러의 수치심과 내재화된 이상
III. 피어스의 정신분석학적 고찰
IV. 루이스의 자아 그 자체와 행위자로서 자아
V. 죄의식과 수치심의 일치
VI.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요한 Johan Kim. 전북대 비판적 사고와 논술 연구소, 전북대 철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