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플라톤 철학에서 기억과 영혼

원문정보

The Memory and the Soul in Plato’s Philosophy

조대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Plato’s conception of memory and soul from the perspective of his doctrine of transmigration. According to this doctrine, the soul is immortal, so that it is born many times and retains the memory of its previous lives. Of course, this memory is personal, and in that respect it essentially differs from the prenatal ‘eidetic memory’ assumed in Plato’ theory of recollection. To use modern psychological terms, each of these two types of memory might be characterized as ‘autobiographical’ and ‘semantic’. In the dialogues of Plato, however, we are not told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m; only in the Theaetetus he commits himself to some essential features of memory, without making any attempt to integrate them in a comprehensive theory of memory. No matter what it looks like, however, Plato’s concept of the ‘autobiographical’ memory and his remarks on it, esp. in Respublica X, are of great importance to our understanding his psychology. As we observe it there, the soul is a bearer of personal memories and it is able to retrieve its own past experiences with emotions and to choose a future life, which is beyond the pure intellectual capacity for apprehending eternal beings. In other words, the soul, in so far as it is the subject of transmigration, cannot be a pure intellect, but it must be a complex unity of the various capacities like the soul-chariot which is depicted in the Phaedrus. This observation gives us a vital clue to solve the crux of the Platonic theory of soul, i.e. the question about whether the soul, in its true nature, is simple or complex.

한국어

이 논문의 목적은 플라톤의 윤회론의 관점에서 기억과 영혼의 본성에 대한 그의 생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윤회론에 따르면 영혼은 불멸하기 때문에, 여러 번 태어나며 전생의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 물론 이 기억은 개인적이며, 그런 점에서 그것은 플라톤의 상기론이 가정하는 이데아들에 대한 기억과 다르다. 현대 심리학의 용어를 사용하자면, 그 두 기억은 각각 ‘자서전적 기억’과 ‘정보기억’으로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플라톤의 대화편들에서는 그 두 형태의 기억 사이의 관계가 해명되지 않는다. 그는 『테아이테토스』에서 기억 현상의 몇 가지 주된 측면들에 주목하지만, 두 형태의 기억에 대한 논의를 하나의 포괄적인 기억론으로 통합하려고 시도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플라톤의 기억론이 어떤 모습을 취하건, 윤회론의 맥락에서 제시되는 자서전적 기억에 대한 그의 생각이나 언급들은 그의 영혼론을 이해하는 데 큰 중요성을 갖는다. 특히 『국가』 X권에 따르면, 영혼은 자서전적 기억의 주체로서 감정을 동반한 상태로 과거를 되살려내고 이를 근거로 미래의 삶을 선택하는 능력을 갖는데, 그런 기능들은 순수 지성의 영역을 넘어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윤회의 주체로서의 영혼은 순수 지성이 아니라 - 『파이드로스』에서 그려진 영혼의 마차처럼 - 다양한 심리적 능력을 가진 복합체일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자서전적인 기억에 대한 플라톤의 생각들을 살펴보는 것은 그의 영혼론의 난제, 즉 영혼이 본성적으로 단순한가 복합적인가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한다.

목차

요약문
1. 기억과 영혼에 대한 물음
2. 이데아에 대한 상기와 영혼의 운명
3. 기억의 두 형태: 이데아에 대한 기억과 자서적인 기억
4. 영혼: 자서전적 기억의 주체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대호 Cho, Dae-Ho. 연세대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