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어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체험주의의 기본 관점에 근거해서 주희의 리욕론에 대한 인지적 차원에서의 경험적 해명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주희의 리욕론은 형이상학적 체계인 리기론을 토대로 구축된 심성론에서 출발해서 인간의 감성적 욕구와 사회의 도덕적 규범 간의 상관관계 처리, 나아가 ‘존천리, 멸인욕’의 최종적 도덕 목표의 실현 등 일련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런데 주희 성리학에 대한 최근의 체험주의적 선행 연구가 보여주고 있듯이 주희의 형이상학적 개념인 리와 기, ‘리일분수’, 그리고 그러한 리기론을 바탕으로 이론적 구성을 하는 그의 심성론은 모두 일종의 일상적인 신체적 경험에 토대를 둔 은유적 확장의 산물이며, 따라서 그것들은 그 이론 체계의 구축을 위한 이론적 요청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나아가 이러한 그의 심성론과 거의 비슷한 논리와 체계적 방식으로 이론적 구성을 하는 주희의 리욕론에 대한 경험적 해명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시한다. 체험주의는 최근 수십 년간의 인지과학의 탐구 성과들을 토대로 형성된, ‘몸의 복권’을 중요한 철학적 주제로 삼아 우리 인간의 ‘신체화된 경험’의 구조에 대해 더 포괄적인 해명을 시도하는 새로운 철학적 시각이다. 이러한 체험주의에 따르면 모든 철학적 관념과 철학 이론들은 본성상 통속 이론과 은유들의 통합에서 비롯된 은유적 사고의 산물이며, 이로써 기존의 철학 이론에 대한 개념적 분석, 비판적 평가, 이론적 구성화에 방법론적 틀을 제공한다. 체험주의적 시각에서 볼 때 주희의 리욕론도 그의 심성론과 마찬가지로 일종의 전형적인 통속 이론과 일련의 다양한 은유들로 정교화된 은유적 구조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나아가 그의 리욕론도 그 이론 체계의 구축을 위해 요청된 이론적 가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또한 그의 리욕론도 역시 인지과학의 경험적 발견과 현시대 개인의 성장 발전에 부합하지 않는 여러 가지 이론 남점들을 안고 있다. 요컨대 오늘날 새롭게 주어진 경험적 지식에 근거한 철학적 재반성은 우리에게 ‘몸의 철학’의 관점에서 우리의 전통적인 철학 이론들에 대해 더 설득력이 있는 경험적 해명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한다.
기타언어
本論文的主要目的, 在於根据體驗主義的基本觀點, 探討对朱熹理欲論进行認知角度上的經驗诠釋的必要性和可能性。朱熹的理欲論主要是從以形而上學體系的理氣論爲基礎建構的心性論出發, 談論人的感性欲求和社會道德規範之間的相互關係的處理, 乃至“存天理, 滅人欲”的最高道德目標的實現等一系列問題。但是, 最近關於朱熹性理學的體驗主義先行硏究指出, 朱熹的形而上學槪念理氣, ‘理一分殊’, 以及以這一理氣論爲基礎形成理論的他的心性論, 都是一種以日常性的身体經驗爲基礎形成的隱喩擴張的産物, 由此, 它們是爲建構他的理論體系而提出的理論邀請的産物。這进而提出对于以與他的心性論极其相似的邏輯、體系方式来构成理論的朱熹理欲論, 进行經驗诠釋的必要性和可能性。體驗主義是以最近數十年的认知科學所取得的研究成果爲基礎形成的, 把“身的復權”當作重要的哲學主題, 試圖對我們的"身体化的經驗"結構進行全面解釋的新的哲學視角。按照這一體驗主義理論, 所有的哲學觀念和哲學理論從本質上說是通俗理論和隱喩相統合而形成的隱喩思考的産物, 由此, 爲現有的哲學理論進行槪念性分析、批判性評价以及理論性構成化提供方法論的途徑。從體驗主義觀點上看, 朱熹的理欲論同他的心性論一樣, 是一種由典型的通俗理論和一群多樣的隱喩精巧化的隱喩結構物, 它意味着這一理欲論也是爲建構朱熹性理學而邀請的理論假象。這樣的理欲論具有同認知科學的經驗性發現和現代個人的成長發展不相符的諸多理論難點。總之, 现阶段以新的经验性知识为基础的哲學再反思, 給我們提出以“身的哲學”的觀點对傳統的哲學理論進行更有說服力的經驗诠釋的必要性和可能性。
목차
1. 머리말
2. 욕구의 연원: 「욕구는 나쁜 것의 통속 이론」
3. 인욕의 발생: 「물결」「시동/절름발이」은유
4. 리욕의 관계:「오르막길/내리막길」「벼루 윗면/아랫면」은유와 「경로」 도식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