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튀빙엔 학파: 연원과 쟁점

원문정보

Tübinger Schule: Entstehung und Streitpunkte

이강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논문은 튀빙엔 학파가 생겨나는 과정과 그 주요 쟁점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 튀빙엔 학파의 탄생을 알리는 두 권의 책을 검토한다. 이 책들은 이 학파의 두 주역 크래머(H. J. Krämer)와 가이저(K. Gaiser)의 저술이다. 다음으로는 (2) 이 학파의 이론을 가리키는 여러 명칭을 알아보고 이 명칭들로 인한 오해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본다. 이 작업을 통해 튀빙엔 학파의 이론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어떤 것이 적절하고 어떤 것은 버려야 하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어서 (3) 튀빙엔 학파의 성격을 잘 드러내는 두 권의 책을 음미한다. 그 하나는 1967년 로이터스하우젠 학술 집담회의 결과물을 가다머(H.-G. Gadamer)와 샤데발트(W. Schadewaldt)가 편집한 Idee und Zahl이고, 다른 하나는 빕펀(J. Wippern)이 편집한 책이다. 그 다음으로는 (4) 튀빙엔 학파를 둘러싼 여러 쟁점들 가운데 두 가지를 검토한다. 그 첫 번째 것은 플라톤 연구사를 둘러싼 대립이다. 특히 크래머와 티거스테트(E. N. Tigerstedt)의 현저하게 다른 견해를 대비시킬 것이다. 두 번째 것은 「파이드로스』 274a-278e와 「제7서한」 340b-345a 부분에 나타는 플라톤의 글에 대한 비판적 태도이다. 우리는 플라톤이 철학적 문헌의 자족성을 명백히 부인한다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끝으로 (5) “튀빙엔의 유구한 플라톤 전통”(die lange Tübinger Platon Tradition)을 계승할 목적으로 2008년 10월에 그 첫 대회를 연 ‘튀빙엔 플라톤 대회’(Tübinger Platon-Tage)를 소개한다. 2년 간격으로 개최되는 이 국제 학술 행사는 비록 ‘튀빙엔 학파’라는 표현을 명시적으로 쓰지는 않지만 어느 모로 보나 튀빙엔 학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보이고 앞으로의 성과가 기대된다. 이상과 같은 작업은 튀빙엔 학파의 역사적 연원과 성격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기타언어

Die vorliegende Arbeit behandelt die Entstehung und die Streitpunkte der Tübinger Schule. Zuerst (1) sind beide Werke unter die Lupe genommen, die die Laufbahn der Tübinger Schule vorbereitet haben. Sie sind die Bücher von H. J. Krämer und K. Gaiser. (2) Für die ‘Ungeschriebene’ Lehre der indirekten Überlieferung hat man bisher verschiedene Bezeichnungen aus unterschiedlichen Perspektiven gebraucht. Völlig unzutreffend ist z.B. die Benennung ‘Geheimlehre’. Einige Ausdrücke sind verbunden mit der unglücklichen Assoziation. (3) Beide Sammelbände bezeichnen den Grundcharakter der Tübinger Schule ganz treffend. Das eine heißt Idee und Zahl. Dieses Resultat des Leutershausen- Symposions im Jahr 1967 wurde von H.-G. Gadamer und W. Schadewaldt herausgegeben. Das andere ist ein Sammelband von J. Wippern. (4) Zwei Streitpunkte sollen geklärt werden. Bezüglich der Geschichte der Platon-Forschung von der Antike bis zur Gegenwart vertreten H. J. Krämer und E. N. Tigerstedt voneinander völlig abweichende Auffassungen. Es ist festzustellen, daß Platon ganz ausdrücklich auf die Autarkie der philosophischen Schrift verzichtet. Viel zitierten beiden Stellen, nämlich 274a-278e und 340b-345a, die platonische Schriftkritik beinhalten, sollen auseinandergesetzt werden. Schließlich (5) sollen die internationalen Tübinger Platon-Tage berichtet werden. Sie sind getragen von der Idee, die lange Tübinger Platon-Tradition wieder verstärkt ins Bewußtsein der Fachwissenschaftler zu rufen und sie mit neuen Impulsen aus der zeitgenössischen Platon-Forschung zu beleben.

목차

요약문
1. 출발을 알리는 두 권의 책
2. 오해를 부르는 이름
3. 논쟁의 중심에 선 두 권의 책
4. 몇 가지 쟁점
4-1. 쟁점1: 플라톤 연구사
4-2. 쟁점2: 글에 대한 비판
5. 시선은 다시 튀빙엔으로
참고문헌
Zusammenfassung

저자정보

  • 이강서 Gang-Seo Rhee.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전남대학교 철학연구교육센터 겸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