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이(程頤) 역학(易學)에 대한 왕부지(王夫之)의 비판적 수용

원문정보

王夫之對程頤易學的批判性吸收

조우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정이의 역학이론을 왕부지 입장에서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발전시킨 논리와 그 근거를 살피는데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여섯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도(道) 개념의 차이다. 정이의 도(道)는 형이상학적 원리이며 사물의 존재근거이기 때문에 불변의 법칙이지만, 왕부지의 도(道)는 형이하학적인 현실세계 속에 내재해있는 것으로 시대나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둘째, 변화(變化)의 이론이다. 음양(陰陽)의 동정(動靜)을 논의할 때, 정이는 고요함을 일시적인 정지로 보지만 왕부지는 고요함을 움직임이 미미한 기미(幾微)와 같다고 본다. 셋째, 체용(體用)의 논리이다. 왕부지는 도(道)와 변화(變化)를 설명하는 논리인 체용론(體用論)에 대해 정이의 체용일원(體用一源)을 수용하면서, 본체를 기(器)로 보고 작용을 도(道)로 보는 기체도용(器體道用)을 주장한다. 넷째, 물극필반(物極必反)의 원칙이다. 이것은 정이가 「서괘전(序卦傳)」을 해석하는 방식으로 필연성을 강조한 것이지만, 왕부지는 변화를 설명하는 하나의 방식일 뿐 필연적인 법칙성을 가질 수 없다고 본다. 다섯째, 수시취의(隨時取義)의 이론이다. 이것은 정이가 『역』의 괘효사를 해석하는 측면에서 말한 것이지만, 왕부지는 불가위전요(不可爲典要)를 주장하여 천지의 변화나 인사의 측면에까지 확장시켜 일정한 법칙이 될 수 없고 어느 한쪽에 치우칠 수 없다고 본다. 여섯째, 점역(占易)과 학역(學易)의 문제이다. 정이는 『역』을 의리적으로 해석하여 학역(學易)의 측면에서 『역』을 깊이 음미하고 연구하여 그 참뜻을 파악해야 한다고 보지만, 왕부지는 ‘점역(占易)과 학역(學易)이 하나의 이치’라는 논리를 주장하면서 학역(學易)의 입장을 더욱 강조한다. 이상에서 볼 때, 왕부지는 정이의 역학이론을 바탕으로 자신의 역학에 대한 관점을 새롭게 관철시켰다. 즉 그는 정이의 의리역학의 논리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역철학적 기반인 도(道) 개념의 차이를 통해서 자신의 역학체계를 완성하였다.

중국어

本论文的研究目的,在于考察王夫之的立场上批判地吸收和发展程颐易学理论的逻辑和根据。本论文的主要内容可概括为以下六个方面。第一,道概念的差异。程颐的道既是形而上学原理,又是事物的存在根据,所以,是不变的法则,而王夫之的道是内在于形而上学的现实世界中的,所以,可随时代和状况而发生变化。第二,变化的理论。在论阴阳的动静时,程颐把静看作是一时的停止,而王夫之则把静看作是动之微微的几微。第三,体用的逻辑。王夫之在说明道和变化的逻辑之体用论问题上,既吸收程颐的体用一源,又主张把本体看作是器、作用看作是道的器体道用。第四,物极必反的原则。这是程颐解释「序卦传」的方式,强调必然性,而对于王夫之,它仅仅是说明变化的一种方式,在那里不可能具有必然的法则性。第五,随时取义的理论。这是程颐从说明『易』的卦爻辞的角度上说的,而王夫之则主张不可为典要,并将它扩张到天地的变化或人事的方面,认为它既不可能成为一定的法则,也不偏。第六,占易和学易的问题。程颐认为应义理地解释『易』,从学易的角度深深品味和研究{易}而把握其真谛,而王夫之则主张“占易和学易是一理”的观点,更强调学易的立场。由上可知,王夫之以程颐的易学理论为基础,重新贯彻了自己的易学观点,即他批判地吸收程颐的义理易学,并通过易哲学基础的道概念的差异,完成了自己的易学体系。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도(道) 
3. 떤화(變化)
4. 체용일원(體用一源)
5. 물극필반(物極必反)
6. 수시취의(隨時取義)
7. 점역(占易)과 학역(學易)
8. 결론
참고문헌
中文摘要

저자정보

  • 조우진 Woojin Cho.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