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터뷰: 실천적 해석학으로서의 대화

원문정보

Interview: Gespraech als praktische Hermeneutik

공병혜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63집 2011.12 pp.339-356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adamer hat in seiner praktischen Hermeneutik das Verstehen selbst als ein moralisches phaenomen in dem Ich-Du-Verhaeltnis angesehen, das sich durch das dialektische Gespraech vollzieht. Die vorliegende Arbeit zielt darauf ab, dass Gadamers praktische Hermeneutik die philosophische Grundlagedes Inter-views als Dialog geben kann, das fuer den Zweck des Verstehens als Wahrheitserfahrung im Bezug auf die bestimmten Sachverhalte gefuehrt werden kann. Das Interview basiert geschichtlich auf das Socratess dialektische Gespraech, das nach der praktischen Weisheit sucht und zur Selbsterkenntnis bringen laesst. Weitergehend spielt dabei Phronesis als die Tugend der praktischen Vernunft wichtige Rolle, die sich in der konkreten Situation ihre Anwendung als das praktische Volllzug findet. Denn Inter-view verfaehrt als hermeneutisches Gespraech durch den Austausch der Besinnung zwischen den Sprechenden in Bezug auf das gute Leben, daraus ergeben sich Selbsterkenntnisse und soziale Solidaritaet. In dieser praktischen Hinsicht kann das Inter-view nicht nur als method der Data-Kollektion und die Quelle des Wissens, sondern auch als moralische Phaenomen, Praxis des Phronesis betrachtet werden, die eine Solidaritaet in die Richtung auf das soziale Gute vermehren und bewahren koennen.

한국어

이글은 해석학적 이해를 도덕적 현상으로서 보는 가다머의 실천적 해석학의 입장이 연구 인터뷰실행과정의 철학적 기초가 될 수 있음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인터뷰는 역사적으로 실천적 삶의 지혜를 추구하며 자기 발견에 이르는 소크라테스의 변증법적 대화법에 기초한다. 그리고 이러한 변증법적 대화과정을 통해 공통의 주제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이르는 과정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철학의 핵심개념인 프로네시스가 작용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대화로서의 인터뷰란 연구주제와 목적에 따라 연구 참여자들의 좋은 삶을 궁극적으로 고려하면서 행위에 대한 숙고적 사려가 교환하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자기 자신에 대한 앎과 더불어 사회적 선을 향한 연대성이 구축되어가기 때문이다. 인터뷰 실행자의 해석학적 능력이란 사회적 실천 이성이 지닌 덕의 능력이며, 대화 참여자들 사이의 관계는 바로 친구 간에 형성되는 필리아(philia), 즉좋 은 삶을 바라면서 함께 하는 삶 속에서 사회적 연대성이 형성되는 관계인 것이다. 따라서 인터뷰란 단순히 연구자의 연구목적을 위한 자료수집 방법이나 지식의 출처일 뿐 아니라, 그것 자체가 도덕적 현상으로서 사회적 선을 향해 연대성을 구축하는 실천적 해석의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문제제기
2. 가다머의 해석학과 실천
2.1. 가다머의 해석학적 이해와 영향사적 의식
2.2. 변증법적 대화와 프로네시스
3. 실천적 해석학의 과제로서의 대화적 이성과 연대성
4. 결론: 실천적 해석학으로서의 인터뷰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공병혜 Byunghye Kong.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