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방중과 감응 - 고대 중국인의 마음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Sexual Arts and Resonance - focusing on the heart of the ancient chinese -

정우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hy are there so many references about women's response of pleasure in the literature of ancient chinese sexual arts(房中術)? this point is remarkable when we compare these literatures, He Yin Ying(合陰陽), Tian Xia Zhi Dao Tan(天下至道談), with Kama Sutra. I think resonance(感應), the logic behind qing(情) to be the reason of this interesting appearance. Generally, 情 is accepted just as the response exposure of Xing(性), personality concentrated on morality. But 情 was the word encompassing every responses such as poet's inspiration, desire for eating something when hungry etc. in th old chinese literature. If broadening the meaning of 情 like this, the response of women in intercourse is counted as 情. 情 like Wu Zheng(五徵) described as woman's response written in 合陰陽, 天下至道談, which is the response of is the expression of mind in mind(心中之心) is delivered by qi(氣). So 情 can be called to be gise(氣色), gixiang(氣象) and finally 氣. 氣 is not so much as something clearly expressed as nuance. this well explains why the response of woman in intercourse is called zheng(徵, symbol). Sure, woman's response like sweat on the nose in intercourse is response. But At the same time it is the stimulation causing the act of man. man's response is directed by 志. In the context of self-cultivating, mind must follow 志. If not, mind doesn't evenly spread and leans to one side. and this bias-desire is the main culprit of mind bias-causes the decline of mental capacity and health. So the response must follow the direction of will(志). in the old chinese literature, stimulation and response is explained by the logic of resonance(感應). then 情 must be apprehended by the theory of resonance(感應論). according to the theory of resonance(感應論), the response must be passive. sometimes this is figuratively expressed as echo following shouting. if so, we can propose that the theory of resonance is the reason for the excessive interest in woman's response shown in the sexual art literature.

한국어

흔히, 동양의 방중서를 단순한 성애의 기술을 담고 있는 문헌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素女經』 등의 방중서를 『카마수트라』와 비교하면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카마수트라』와 달리 『素女經』에는 여성을 욕정의 대상으로 치부하는 논의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이런 차이는 방중이 일종의 양생술이라는 점에서 발생한다. 특히 마왕퇴 발굴문헌인 ‘합음양’과 ‘천하지도담’ 등의 문헌에 집중하면, 여성의 반응에 관한 언급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에 놀라게 된다. 왜 이런 내용의 비중이 높은 것일까?情은 동양사유전통에서 외부의 자극에 대한 반응을 대표한다. 그러므로 정이 발로하는 구도를 여성의 반응을 읽어내는 구도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은 실은 마음속의 마음이 드러나는 것이다. 마음속의 마음 즉, 精神(마음속의 마음이라고 했지만, 결코 심리적 영역에 제한되지만은 않는다.)이 처음에 울려나오는 것을 意라 하고 그런 마음의 지향성이 굳어진 것을 志라고 한다. 그런데 의지는 마음을 곧장 제어한다기 보다는 氣를 통해 간접적으로 제어한다. 여성의 반응도 이런 구도를 따라 드러난다. 그런데 이렇게 드러나는 반응은 분명하게 표현되는 말이 아니라, 말의 뉘앙스에 가깝다. 그것은 분명하게 표현되지 않지만 말보다 선명하고 더 깊은 곳에 있는 내밀한 비밀을 전해준다. 떨리는 목소리로 ‘괜찮아’라고 말할 때, 진실을 전하는 것은 무엇인가? 특이하게도 동양인들은 이처럼 말 자체가 아니라 말의 뉘앙스에 집중해왔고, 그것은 동양문화의 한 특성을 이룬다. ‘단단해진 유두, 얇아진 혀’는 그런 뉘앙스에 들어있는 진실을 전한다. 이런 반응의 배후에는 감응론이라는 동양의 특수한 논리가 있다. 감응론은 사시의 변화에 철저하게 순응코자 했던 이들의 논리이다. 그런데 이상적인 감응론은 물그림자처럼 메아리처럼 조금의 차이도 허용하지 않는 완전한 조화를 추구한다. 이런 조화는 자신을 완전히 비운상태에서 이루어져야만 한다. 자신을 비우지 않으면 반응은 편중될 수 있고, 그것은 사태를 완전히 드러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여성의 반응을 철저하게 적어가는 이야기의 배후에는 바로 이런 논리가 전제되어 있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본론
1) 반응으로서의 惰
2) 정이 반응하는 생리적 구도
3) 언표(言表)되지 않지만 너무나 선명한 마음
4) 감응의 논리와 성애의 교감
5) 동양의 인지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우진 Woojin Jung. 경희대학교/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