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철학, 정신을 말하다 ― 그 실체성, 기능성, 유기성

원문정보

Minds understood in terms of properties substancial, functional, organic

정대현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62집 2011.09 pp.339-36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e may note two major views concerning the human mind, which say respectively that minds are substantial or functional. But the former became the object of deconstruction by the method of postmodern pluralism and the latter faces difficulties in overcoming objections, one of which is raised by Hilary Putnam in that mental properties are properties of family resemblance rather than of what is in common to them all. Both of them share one thing which is a presupposition that mind and body are ontologically distinct. And I would judge that this is one crucial element which seem to decide the way they conduct their discussions. An alternative to these views with a dualistic presuppostion is an organic perspective which can be derived from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zhōng yōng). The doctrine says that the ultimate integration(至誠) leads to the completion of the nature of things as well as to the state(成己成物) where my completion and the completion of all other things are one and not two, arriving to the conclusion where all are holy(聖). The metaphysics of this integration allows two hypotheses: that integration is an ability of mind not only in human but also in all other things and that mind reflects a concept not of the human kind but of degree of complexities of an ability of all things. If an anti-organic theorist does not accept the two hypotheses above, she should also oppose the following conditional: if the present human kind is the result of the evolution, so is the present human mind. If she is not ready to oppose the conditional she can be led to the next hypothesis that the integration of an object is a property of performance by which it accomplishes its own tao-reason(道理) in consistent with the tao-reason of all other things. Then, what is called "mind" which is enacted in all things is their abilities to do relation construction, information processing, situation adjustment.

한국어

정신에 대한 이해의 실체적 관점은 언어 다원주의로 해체되고, 기능적 관점은 가족유사성 같은 논변으로 어려움을 맞는다. 이들은 심신 이원론의 이분법을 전제하고서 정신을 파악하고자 하는데서 한계를 갖는다고 생각한다. 하나의 대안은『중용』의 유기적 세계관으로부터 한 단초를 구하는 것이다. “지성(至誠)이면 진성(盡性)하여 성기성물(成己成物: 나를 이루는 것과 만물을 이루는 것이 맞물려 있다)하고 성(聖)의 경지에 이른다”는 그 대의는 요약적으로 다음의 가설들을 함축한다고 보인다: (1) 誠은 인간만이 아니라 만물의 마음 능력이다; (2) 마음은 단일한 실체의 종이 아니라 능력 복합성의 정도를 갖는 개념이다. 마음에 대한 반유기론자가 위의 두 가설을 부정한다면, 또한 그는 “인간종이 진화하였다면 인간종의 마음도 진화하였다”라는 진화 조건문을 부정하여야 할 것이다. 그렇게 부정할 수 없다면, 성(誠)의 중용적 개념으로부터 “개체의 誠은 만물의 道理와 맞물린 그 개체의 道理를 이루는 개체의 수행의 성질이다”라는 가설에 인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인간이나 동식물뿐 아니라 돌이나 물 같은 모든 존재가 유지하는 마음이란 그 존재가 주변과의 관계 속에서 관계 정치, 정보 처리, 상황 대응의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목차

요약문
1. 여는 말: 실체적 정신에서 음양적 정신으로
2.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적 물음의 전환
3. 인지과학: 심성의 기능
4. 심리철학: 마음의 실재성
5. 맺는 말: 음양적 정신의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대현 Daihyun Chung.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