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짠드라끼르띠의 유식학 비판

원문정보

チァンドラキリティの唯識論批判

김현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바바비베카는 중관학파 최초로 유식 삼성설에 대해 비판하며, 중관학파의 교의를 선양하려고 한다. 이 비판이 중관학파와 유식학파 사이에 ‘공’(空)・‘유’(有) 논쟁의 시작이다. 최소한의 언어 표현에 머무는 중관학파와 언어에 긍정적 기능을 부여하는 유식학파는 ‘공성’에 대한 해석에서 그들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 짠드라끼르띠 역시 중관학파와 유식학파 사이의 긴장을 유지하면서 유식사상을 비판한다. 그러나 짠드라끼르띠는 바바비베카와 다른 각도에서 유식학파 주장들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다. 짠드라끼르띠는 알라야식을 인과를 이숙하고 상속하는 기체로서 정의하고 있다. 또한 그는 의타기성으로서 알라야식을 이해하고 있는데, 그것은 유식성과 염정 이분의 근거로서 의타기성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식성과 염정 이분의 근거로서 의타기성에 대한 이해는 아상가-바수반두의 해석에 근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식무경설의 근거로서 제시되고 있는 주장들은 꿈의 비유, 비문증의 비유, 부정관의 비유 등 크게 세 가지이다. 꿈의 비유는 『섭대승론』 「소지상분」이 『입중론』의 논의와 맥락 상 일치하고 있고, 비문증의 비유와 아귀의 비유는 『유식이십론』이 인용 근거로 판단된다. 따라서 『입중론』에서 제시되고 있는 유식무경설 역시 아상가-바수반두의 저작들에 기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유식무경설에 대한 비판은 꿈의 비유, 비문증의 비유, 부정관의 비유 등에 대한 부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의 특징은 외경의 실재를 논증하는 것이 아니라 유심을 강조하여 유식을 배격하는 논증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유식론 비판에서는 객관적 사실의 경험이 불확실하다는 주장(유심)과 객관적 사실이 없다는 주장(유식)과의 차이를 구분한다면 유식이론은 중관학파가 수용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것이 유식학파의 종의(宗意)를 중관학파 하위로 설정하려는 교섭적인 측면이 나타나는데 바바비베카와는 다른 특징이다.

일본어

チァンドラキルティ(Candrakīrti)の『入中論』ではア―ラヤ(ālaya)識、唯識無境、自証分に対して唯識学派の主張を提示して反論している。そのなかで、この論文は唯識無境に関する論議のみを考察するのである。『入中論』で紹介されている唯識思想は唯識論師の実名と引用典拠を明示していないから唯識思想に対するチァンドラキルティの理解方式を通じてその引用根拠たちを類推して見るしかできない。まず、チァンドラキルティにとってア―ラヤ識とは因果を異熟して継ぐ基体として定意されている。また彼は依他起性としてのア―ラヤ識だと理解しているので、それは唯識性としての依他起性と染浄二分の根拠としての依他起性を理解しているということを意味する。唯識性としてのア―ラヤ識と染浄二分の根拠としてのア―ラヤ識理解はアサンガ(Asaṅga)-世親(Vasubandhu)の解釈に根拠されることで見られる。唯識無境説の根拠として提示されている諸主張は夢の比喩、眼疾患の比喩、不浄観の比喩などの大きく三種類である。しかし入中論では三種類比喩の引用根拠を明らかにしていないから小川一乘は引用根拠として夢の比喩と眼疾患の比喩を『唯識二十論』で捜しているし、岸根敏辛は眼疾患の比喩のみを『唯識二十論』で捜している。夢の比喩は『攝大乗論』「所知相分」にも『入中論』の論議と脈絡上一致しているし、不浄観の比喩も『攝大乗論』「所知相分」に言及されている点、そして餓鬼の比喩を見ると『唯識二十論』が引用根拠だと判断される。したがって『入中論』で提示されている唯識無境説もアサンガ-ヴァスバンドゥの著作たちに基づいていると考えられる。このような唯識無境説に対する批判は夢の比喩、眼疾患の比喩、不浄観の比喩などに対する不正で構成されている。この構成の特徴は外境の実在を論証するのではなく唯心を強調して唯識を排撃する論証の形式を取っているのだ。唯識論批判では客観的事実の経験が不確実だという主張(唯心)と客観的事実がないという主張(唯識)との差を区分したら唯識理論は中觀學派が収容することができると明らかにしている。これが唯識学派の宗意を中觀學派下位で設定しようとする交渉的な側面が現われるのにバ―バビベカ(Bhāvaviveka)とは違う特徴だ。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짠드라끼르띠의 알라야식 이해
3. 『입중론』 나타난 유식무경설과 그 비판
1) 유식무경설과 그 근거
2) 유식무경설 비판
4. 유식론 비판의 콘텍스트
1) 교증에 의한 유식 비판
2) 마음에 의한 외경 비실재성 비판
3) 유식론 비판의 콘텍스트
5. 유식에서 유심으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구 Hyun Gu Kim. 전남대하교 호남불교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