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식주관과 객관의 무자성 - 『입중론』의 공능 비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認識主観と客観の無自性

김현구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61집 2011.06 pp.121-15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설일체유부는 객관 대상에서 인식의 조건을 찾았다. 경량부는 외경을 추리에 의해 요청하였고 유식학파는 연속하는 마음의 흐름에서 지각의 조건을 구했다. 설일체유부는 외경 실재론으로서 무형상지식론으로 대표되며 경량부와 유식학파는 인식 주관에 관해 논의하는 유형상지식론의 입장에 서있다. 그런데 외적인 대상의 존재성을 부정해서 인식 주관만을 인정하는 인식 실재론의 유식학파의 경우 인식이 어떤 계기로서 생기하는가라는 문제에 직면한다. 그 문제를 해소하는 이론으로서 유식학파는 종자의 공능이라는 개념을 설정한다. 짠드라끼르띠는 공능에 관한 비판에서 인식 발생에 있어서 대상이 있는가 없는가를 논증하지는 않는다. 그는 공능이 성숙하는가 성숙하지 않는가를 바탕으로 논의하고 있다. 짠드라끼르띠는 상대의 논리에 즉해서 논지를 전개한다. 그는 부정의 형식을 통해 인식상의 혼돈만을 배격한다. 혼돈이란, 비유하자면 실재하지 않는 머리카락과 같아서, 배격되어도 우리의 삶에서 사라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역설적이지만 혼돈이 언어에서 기인했어도 언어에 의해서 혼돈은 배격될 수 있다. 그것을 배격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가 무자성이다. 이 말은 단지 실체론의 크기에 비례하는 ‘그림자’처럼 실체적인 이해가 사라지면 그 기능도 없어진다. 그래서 무자성은 자립적으로 성립하는 이론이 아니다. 이상의 논의는 설일체유부에서 경량부를 거쳐 유식학파까지 연속하는 인식론의 전개와 발전을 거친 결과물이다. 그리고 유식학파 비판은 바바비베카와 다르마팔라의 공(空)・유(有) 논쟁을 잇는 두 번째 중관학파와 유식학파의 논쟁으로서 중관학파의 견해를 최고의 견해로 위치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즉 자성 없는 대상과 인식, 대상과 인식의 상호 의존은 짠드라끼르띠의 인식에 관한 입장이다. 이것은 그의 견해라기보다는 나가르주나의 중관 전통의 회복이라고 부르는 편이 자연스럽다.

일본어

説一切有部は客観対象から認識の条件を求めた。経量部は外境を推理によって要請し、唯識学派は連続する心の流れから知覺の条件を求めた。説一切有部は外境実在論として無形相知識論に代表され、経量部と唯識学派は認識主観に関して論議する有形相知識論の立場に立っている。ところで外的な対象の存在性を否定して認識主観のみを認める認識実在論として唯識学派の場合、認識がいかなる継起によって生起するかという問題に直面する。その問題を解消する理論として唯識学派は種子の功能という概念を設定する. チァンドラキルティ(Candrakīrti)は、功能に関する論議の中で認識発生において対象の有無については論証していない。彼は功能の成熟の有無を中心に論議している。チァンドラキルティは相手の論理に卽して論旨を展開する。彼は不定の形式を通じて認識上の混沌のみを排撃する。混沌とは実在しない髪の毛のようなもので、排撃されても本人の生において消えるものは何もない。逆説的であるが、混沌は言語に起因したとしても言語によって排撃されうる。それを排撃するために使う言語として無自性が用いられる。この言葉はただ実体論の大きさに比例する'影'のように、実体的理解が消えればその機能も消える。つまり、無自性は自立的に成り立つ理論ではない. 以上の論議は、説一切有部から経量部を経て唯識学派にまで連続する認識論の展開と発展を経った結果物である。そして唯識学派批判は、バーバビベカ(Bhāvaviveka)とダルマパーラと(Dharmapāla)の空・有論争を引き継く二番目の論争として、中観学派の見解を最高のものとして位置させようとする努力の一環である。すなわち自性のない対象と認識、対象と認識の相互依存はチァンドラキルティの認識に関する立場である。これは彼の見解というよりは、ナーガールジュナ(Nāgārjuna)の中観伝統の回復と呼ぶ方が自然である。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유형상지식론과 유식무경
1) 실재론 비판과 유형상지식론
2) 유식무경과 초기 유식학파의 이제설
3. 인식 발생의 원리로서의 '공능'과 그 비판
1) 공능과 인식의 관계
2) 공능과 감각기관의 동일성
4. 인식주관과 객관의 무자성
5. 결론
참고문헌
日文抄錄

저자정보

  • 김현구 Hyun Gu Kim. 전남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 호남불교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