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마르크스에 있어서 ‘철학과 세계’의 문제 - ‘철학의 실현과 지양’ 테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and World in Marx - The Realization and Sublation of the Philosophy -

조항구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79집 2015.12 pp.353-38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Dieser Artikel behandlete, wie Marx die Einheit zwischen Philosophie und Welt zu vollbringen versuchte. Dieses Thema untersuchte dieser Artikel auf Grund der These ‘Verwirklichung und Aufhebung der Philosophie.’ Der Gegenstand der Untersuchung war die Werke, die von 1841 bis Dez. 1843 geschrieben wurden. Diese sind a) die Marxsche Dissertation(1841) und b) ‘Zur Kritik der Hegelschen Rechtsphilosophie. Einleitung’(1843). In a) gibt es die These ‘Philosophisch-Werden der Welt und Weltlich-Werden der Philosophie’, während es in b) zwei Thesen: (i) ‘Verwirklichung und Aufhebung der Philosophie.’ und (ii) ‘Aufhebung des Proletariats und Verwirklichung der Philosophie’. Aus der Untersuchung resultierten sich die folgenden: 1. In ‘a)’ bedeutete das Wort ‘Philosophie’ den Begriff ‘Vernunft’, während das Wort ‘Welt’ den Königreich Preussen unter der absoluten Monarchie mit der Politik des christlichen Staats bedeutet. Deswegen wurde nur die theoretische Kritik an der Theorie wie z.B. die christlichen Lehren als die angemessene Methode für die Verwirklichung der Philosophie angesehen. Marx erzälte die Struktur auf der Grundlage der Philosophie des Selbstbewußtseins von Bruno Bauer. 2. In b) bedeutete das Wort ‘Philosophie’ die verschiedenen Bedeutungen je nach Kontext, während das Wort ‘Welt’ immer noch die absolute Monarchie bedeutete. Mit (i) wurde die Vereinigung zwischen Theorie und Praxis behauptet. Jedoch war das Mittel zur Vereinheitlichung der Theorie und Praxis immer noch die Kritik. In der These ‘Proletariat’ bedeutete das Wort ‘Philosophie’ den ‘Humanismus’ von Feuerbach, während die Welt die kapitalistische Gesellschaft war. Die Philosophie erscheint nun als geistige Waffen des Proletariats.

한국어

이 글은 마르크스가 철학과 세계(현실) 간의 통일을 어떤 식으로 성취하려 했는지를 다룬다. 본고는 이 문제를 철학의 실현과 지양 테제를 중심으로 연구했다. 연구의 대상은 1841년부터 1843년 12월까지 마르크스의 저작이다. 구체적으로는 a) 마르크스의 박사논문(1841)과 b) 헤겔법철학비판서설(이하 「서설」, 1843)이다. a)에는 ‘세계의 철학화와 철학의 세속화’ 테제가 쓰여 있고, b)에는 i) ‘철학의 실현과 지양’ 테제와 ii) ‘프롤레타리아트의 지양과 철학의 실현’ 테제가 쓰여 있다. 연구의 결과, 1) ‘철학’은 a)의 테제에서 ‘이성’을 의미하고, 현실은 비이성적인 절대군주정의 프로이센이었다. 프로이센은 기독교국가정책을 표방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독교교리 같은 이론을 이론적으로 비판하는 것이 철학을 실현하는 방법이었다. 마르크스는 브루노 바우어의 ‘자기의식의 철학’을 토대로 이 철학화 구조를 설명했다. 2) 철학은 b)의 테제에서 문맥에 따라 다양한 철학들을 의미했고 ‘현실’은 여전히 절대군주정이었다. 마르크스는 ‘철학의 실현’ 테제를 이론과 실천의 통일을 설명하는데 사용했다. 그러나 이론과 실천을 통일하는 수단은 여전히 ‘비판’이었다. ‘프롤레타리아트’ 테제에서 철학은 포이어바흐의 ‘휴머니즘’을 의미했다. ‘현실’은 자본주의사회였다. 이제 철학은 프롤레타리아트의 정신적 무기로 나타난다. 그러나 1845년 중반에 철학은 이제 마르크스 자신의 실천적 유물론으로 바뀐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세계의 철학화와 철학의 세속화
1) 브루노 바우어의 철학
2) 마르크스의 박사학위논문(1841년)
3) 라인신문활동기와 크로이츠나하시대(1842년~1843년 9월)
3. ‘철학의 실현’과 ‘철학의 지양’
1) 『독불연보』의 배경과 목적
2) 헤겔법철학비판서설(1843년 10월-12월)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항구 Cho, Hang Gu. 경북대학교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