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이에르바흐의 인간학에 대한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Feuerbach's anthropology

이서규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79집 2015.12 pp.321-35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euerbach kritisiert aufgrund der sinnlichen Anthropologie die überlieferte Philosophie und die traditionelle Religion wie Christentum. Er betonnt, daß das Leitmotiv jeder Religionen das Abhängigkeitsgefühl sei. Mit der Religionskritik destruiert Feuerbach das traditionelle Menschenverständnis und legt uns die sinnliche Anthropologie als ein neues Prinzip für die zukünftige Philosophie vor. Dieser Anthropologie der Sinnlichkeit zufolge ist der Grund der Verwirrungen der überlieferten Menschenbestimmung nichts anderes als der blinde Glaube an der Identität des Denkens und Seins. Die überlieferte Philosophie, welche auf dieser Dichotomie zwischen dem Geist und der Materie oder zwischen der Seele und dem Leib basiert, bestimmt die Endlichkeit des Menschen als negativ und unterschätzt die Wirklichkeit des Menschen. Deshalb versucht die überlieferte Philosophie das Dasein des Menschen jedesmal in die Unendlichkeit zu versetzen und umwandern. Aber im Gegensatz dazu verfaßt Feuerbach den Menschen als dasjeniege, das innerhalb eines bestimmten Zeitraumes wohnt und bleibt. Feuerbach destruiert mit der Anthropologie der Sinnlichkeit die transzendent-unbedingte Auslegung des Menschen und versucht eine neue Philosophie darzustellen. Um diese neuere philosophische Anthropologie zu begründen, interpretiert er den Menschen aus seiner Sinnlichkeit, und zwar Leiblichkiet. Die vorliegende Arbeit untersucht über die Problematik der Anthropologie der Sinnlichekit bei Feuerbach und deren Vorteile wie Nachteile.

한국어

포이에르바흐는 감성적 유물론에 근거하여 전통철학을 비판하는데, 특히 그의 유물론은 종교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취하게 한다. 포이에르바흐는 종교비판을 통해서 전통적인 인간이해를 해체하여 새로운 철학의 원리로서 감성적 인간학을 제시한다. 그의 인간학에 따르면 전통철학의 특징을 이루어왔던 사유와 존재의 동일성에 대한 믿음은 인간의 존재를 왜곡시킬 뿐이다. 정신과 물질 또는 영혼과 육체의 이분법에 근거한 전통철학은 인간이 지닌 유한성을 부정적인 것으로 규정하면서 인간존재의 현실성을 왜곡시키게 된다. 포이에르바흐에 따르면 전통철학은 인간의 유한성을 극복하여 인간존재를 무한한 존재와 연결시킨다. 그러나 포이에르바흐는 인간은 지금 여기의 시간과 공간 속에서만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전통철학에서, 특히 헤겔의 사변철학에서 확인되는 왜곡된 사유는 인간존재의 유한한 현실성을 망각하여 초월적인 존재로 눈을 돌리게 하는데, 포이에르바흐의 인간학은 허구적인 인간이해를 해체한다. 그가 제시하는 새로운 철학의 원칙은 모든 인간존재를 규정하는 감성과 신체성인데, 이 원리들이야 말로 자연에 근거한 인간의 삶이 지닌 구체적인 존재특성을 올바르게 드러내준다. 새로운 미래의 철학은 더 이상 인간을 정신과 물질의 이분법에 사로잡히게 하지 않고 초월적인 세계로 이끌어 현실세계와 단절시켜서는 안 된다. 포이에르바흐의 감성적 인간학은 전통철학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던 신체, 물질의 존재의미를 회복시킨다. 그러나 인간학은 또 다른 유물론의 정초를 의미하지 않는다. 포이에르바흐에게 전통철학에서의 극단적인 관념론과 유물론의 대립은 모두 인간존재에 대한 왜곡으로 파악되기 때문이다. 그의 인간학은 인간존재를 구체성과 현실성의 차원에서 파악하는 것이며, 이것은 결코 정신과 물질의 극단적인 대립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포이에르바흐는 사유의 작용은 신체의 부분인 두뇌작용에서 생겨나며 이러한 작용의 올바른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감성(Sinnlichkeit)이라고 주장한다. 이 논문에서는 포이에르바흐의 감성적 인간학이 지닌 특징들과 문제점들에 대해서 고찰하도록 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사유의 한계와 신체의 철학
1) 사유와 존재의 동일성비판
2) 자연과 신체의 새로운 해석
3. 인간의 감성과 유물론
1) 인간과 감성적 직관
2) 감성적 인간학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서규 Lee, Seu-Kyou. 제주대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