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덕화된 음・양의 역사 - 삼경(三經)시대부터 한(漢)대까지 음・양 개념의 은유적 분석 -

원문정보

A History of Moralized ‘Yin’ and ‘Yang’ A Metaphorical Analysis of Yin and Yang between the Period of Three Classics and Han Dynasty

서영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changes to the meanings of "yin and yang" used between the period of Three Classics and Han Dynasty in terms of the experientialist theory of metaphor, thus tracing the changes of their theoretical frames. This study specifically sheds light on the process of yin and yang, the root concept of Confucianism, which has evolved from a "concept to represent natural phenomena and physical experiences" in its early days, through an "axiological concept" to represent a dichotomous moral structure, to "metaphysical substance" to subsume all the physical things under the transcendent being. By this analysis, I tried to show that those transformations gave rise to various patterns of metaphorical expansions. It is through this explanation that one recognizes the fact that yin and yang are not pure concepts carrying objective and definitive meanings but flexible ones that are inevitably subject to various changes due to social and cultural needs and philosophical intentions. Not a single concept can stand on its own feet. A concept is a product of diverse human experiences, non-fixed result of constant exchanges of influences among their physical conditions and situations, and major ground that works to put limits to their life. A metaphorical analysis of yin and yang may offer a crucial ground to figure out the roots of abstract and transcendental concepts, and show the ways how they are theorized, and often suppress and distort human life against their own theoretical pretensions.

한국어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체험주의의 은유 이론에 의존해 삼경시대로부터 한대까지 사용했던 ‘음’ ‘양’ 개념의 의미 변화를 검토함으로써 이론적 지반의 변화 경로를 추적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유학의 뿌리 개념인 음・양이 생성 초기에는 ‘자연 현상과 물리적 경험을 표상하는 개념’에서, 도덕적 이원 구조를 표상하는 ‘가치론적 개념’으로, 그리고 다시 새롭게 등장시킨 초월적 존재 아래 모든 물리적인 것들을 존재하게 하는 ‘형이상학적 실체’로 정립되어 가는 것을 조망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변모는 은유적 확장의 한 양상임을 보이려는 것이다. 이러한 해명을 통해 우리는 음・양이 객관적이고 확정적 의미를 갖고 있는 순수 개념이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요구, 그리고 철학적 의도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거듭할 수밖에 없는 유동적 개념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게 된다. 개념은 그 자체로 독립적인 것일 수 없다. 그것은 우리의 다양한 경험의 산물이며, 인간의 물리적 조건들과 상황에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는 비고정적 결과물인 동시에, 우리의 삶을 제약하는 중대한 근거로 작용한다. 음・양 개념에 대한 은유적 해명은 추상적・초월적 개념의 뿌리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이론화되어 거꾸로 우리의 삶을 제약하는지를 드러내는 데 중요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체험주의의 신체화된 은유 이론
3. ‘음 · 양’ : 자연적 경험의 기표에서 실체로
1) 자연적 경험의 기표로서의 ‘음・양’ : 『시경』『서경』『주역』
2) 가치론적 경험틀, ‘음・양’ : 「상전」「단전」을 중심으로
3) ‘음・양’의 실체화: 「계사전」『여씨춘추』『춘추번로』를 중심으로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영이 Seo, Young-Yi. 전남대 철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