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premised that 'Sasang' of the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 is not used as a principle of changes in the Yijing, and examined the foundation of the premise and the theory. For this purpose, I studied major issues in the interpretations of the concept of Sasang. Later I analyzed a transformation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s and a reconstructed theory of internal organ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 of sasang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and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the Yijing and Neo-Confucianism. The theory of sasang is based on Confucianism, which sees humans as organic beings, but understands them as beings to recognize and practice knowing and acting and talents from a perspective of the Heavenly qi 氣 and human affairs. This is different from a prior viewpoint in which humans are oriented toward the unification of them and the Heaven. On the basis of the new theory,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understands emotions as key causes of disease, finds that different constitutions result in different aspects of partial attachment, and therefore invents a new theory of internal organs to be used for diagnoses of and cures for diseases. The Sasang theory is composed of different concepts, but is not based on the principle of changes in the Yijing or the Heavenly principle. This fact means that the Sasang theory breaks itself of any transcendental concepts, and is transformed to an empirical and verifiable one. In this regard, the Sasang constitutional theory without any transcendental principle of changes can be said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f human beings and cure for disease.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사상의학의 ‘사상’ 개념이 『주역』의 변화원리 개념으로 사용되지 않았다는 전제하에 이를 검증하고, 그 근거가 무엇인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필자는 사상 개념 해석상의 문제를 살펴본 다음 인간이해의 구조적 전환과 재구성된 장부이론의 내용과 방식을 분석하여 사상의학의 ‘사상’ 개념과 한의학이나 주역 또는 성리학과의 관련성 여부를 검토했다. 사상의학 이론은 인간을 유기체적 존재로 해명하는 유학사상에 기초하지만 천인합일을 지향하는 과거의 초월적 이론에서 전환하여 천기와 인사의 사상 구조 안에서 지행과 재록의 문제를 지각하고 행하는 주체로 이해했다. 이처럼 전환된 시각에서 인간을 이해한 사상의학은 감정의 편착이 발병의 주된 원인이며 체질에 따라 편착의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발병의 원인 진단과 치료에 적용하는 새로운 장부이론을 재구성했다. 이렇게 재구성된 사상이론에는 사상 등 여러 개념이 사용되었지만 주역의 변화원리나 천리와 같은 원리 개념이 탈각되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사상의학 이론이 이론의 연구와 진료 방법에 있어서 초월적 논의를 벗어나 검증 가능한 경험적 방식으로 전환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초월적인 변화원리를 배제한 사상의학 이론은 인간에 대한 새로운 해명, 그리고 새로운 질병 치유 방법의 가능성을 제공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서언
2. ‘사상’ 개념의 해석 문제
3. 인간이해의 구조적 전환
4. 장부이론의 재구성
5. 결어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