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牟宗三의 주희 도덕철학 이해의 得과 失 - 주희의 心具理와 心知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Merits and demerits on Chu Hsi's philosophy of Mou zong san understanding

모종삼의 주희 도덕철학 이해의 득과 실 - 주희의 심구리와 심지를 중심으로 -

황갑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논문은 당대신유가의 대표적 학자인 모종삼의 주희철학에 대한 이해를 비판적인 입장에서 서술한 것이다. 모종삼은 주희의 도덕론을 타율도덕으로 규정하였는데, 그것의 본체론적 근거는 ‘只存有而不活動’이고, 방법상의 공부론은 順取之路이다. 모종삼은 이러한 주희의 학술체계 성격을 종합적으로 橫攝系統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모종삼의 규정은 주희철학의 심과 리의 관계에 대한 이해로부터 비롯되었다. 필자는 그중에서 심구리와 리에 대한 심의 인지를 중심으로 주희의 도덕론에 대한 모종삼 규정의 난점을 분석해보았다. 즉 모종삼은 주희의 심구리를 당구(當具)로 규정하였고, 리에 대한 심의 지식을 섭지(攝知)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주자어류』와 『주문공문집』에 수록된 주희의 언설에 의거하면 심구리는 당구가 아니라 본구(本具)이고, 리에 대한 심의 인지 역시 후천적인 섭지가 아니라 본지(本知)라는 것이 필자의 판단이다. 만일 심구리가 본구이고, 리에 대한 심의 인지가 본지라면 주희철학에 대한 모종삼의 여러 규정은 일정 부분 수정을 해야 한다.

중국어

此論文之主要目的則在於分析當代新儒家的代表學者牟宗三對於朱熹哲學之理解. 但筆者不取肯定的態度, 而取批判的態度. 牟宗三把朱熹道德論規定爲他律道德, 此規定之本體論的根據就是‘只存有而不活動’, 方法之工夫論爲順取之路. 牟宗三把朱熹道德論, 就綜合的立場判爲屬於橫攝系統的學術. 此種規定來於對朱熹哲學的心理關係的牟宗三之理解. 在朱熹哲學, 心與理之關係, 雖然可多方面來解說, 但筆者其中以‘心具理’與‘對理的心之認知’爲中心來分析牟宗三所規定的難點. 牟宗三朱熹的心具理規定爲後天的當具或攝具, 而對理的心知規定爲後天的攝知. 但依據『朱子語類』與『朱文公文集』所錄的朱熹言說, 筆者認爲心具理並不是後天的當具, 乃是先天的本具. 對理的心知亦不是後天的攝知, 而是先天的本知. 若心具理是本具, 對理的心知亦是本知, 那對於朱熹哲學的牟宗三之規定, 則有修改的餘地.

목차

요약문
Ⅰ. 들어가는 말
Ⅱ. 유가의 도덕론에 대한 모종삼의 기본 사유
Ⅲ. 當具와 攝知
Ⅳ. 本具와 本知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황갑연 Hwang KapYoun. 전북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인문연구원 전라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