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It has been pointed out by many scholars that act-utilitarianism is not qualified to be a universal principle for moral decision-making. And the view that Bentham’s utilitarianism is a fairly good specimen of act-utilitarianism as such has prevailed over decades. Two different arguments have been raised against this view. One is the argument that the long received distinction between act and rule utilitarianism has no particular significance in Bentham’s philosophy. The other argument, to which I shall deeply atten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view that the textual evidence through which Bentham can be seen as a rule-utilitarian might be found in his legal theory, especially his discussion about judge’s power and also about the Pannomion which he designed as a completely codified body of laws. According to a group of scholars, on the one hand, Bentham granted to judges immense discretional powers with which they can adjudicate on each individual case or act by relying primarily on their own utility-calculation and also, as occasion arises, set aside the substantive laws established by the legislature. That is, they regard Bentham as an act-utilitarian who wanted to apply the principle of utility down to individual cases or acts. On the other hand, another group of scholars claim that Bentham never granted to judges such powers, and that his basic strategy for utility-maximizing lies in maximizing the application of legislator-made rules. That is, they see him as a rule-utilitarian who wanted to limit judge’s discretional powers to a certain definite degree. In this paper what I shall try to do is to show, on the basis of his fundamental view of judge’s powers and the Pannomion, that the interpretation suggested by the latter group of scholars is somewhat more cogent than that of the former.
한국어
행위-공리주의는 도덕적 의사결정의 보편적 원리로는 부적격하다는 지적이 있었으며, 벤담의 공리주의를 그런 행위-공리주의의 전형으로 보는 해석이 다소는 지배적이었다. 이런 해석에 대항하는 두 가지 견해가 있다. 하나는 그의 사상 전반에서 행위/규칙 공리주의의 구분은 별로 중요하지 않다는 견해이다. 그런데 이 논문에서 필자가 조명할 다른 하나의 도전은 그를 규칙-공리주의자로 볼 수 있는 텍스트적 근거를 그의 법이론, 특히 판사의 권한 및 역할과 그가 성문화된 완전한 법전으로서 구상한 파노미온에 대한 논의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견해이다. 일군의 학자들에 따르면, 벤담은 판사에게 개별 사례 혹은 행위의 수준에서 자신의 공리계산에 의거하여 판결할 수 있는, 그래서 필요에 따라서 입법자가 만든 실체법을 배제할 수 있는 광범위한 재량을 부여했다. 요컨대 그들은 벤담을 공리의 원칙을 개별 사례 혹은 행위의 수준에까지 적용하려한 행위-공리주의자로 간주한다. 이에 반해 다른 일군의 학자들에 따르면, 벤담은 판사에게 그렇게 광범위한 재량을 부여하지 않았으며, 공리극대화를 위한 그의 기본 전략은 어디까지나 입법자가 만든 규칙의 적용에 있다. 요컨대 그들은 벤담을 규칙-공리주의자로 본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판사의 권한 및 역할과 파노미온에 대한 그의 기본적 입장을 토대로 후자의 해석이 다소 더 설득력 있는 입장임을 밝히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2. 판사의 역할과 권한에 대한 행위-공리주의적 해석
3. 판사의 역할과 권한에 대한 규칙-공리주의적 해석
4. 파노미온의 분석을 통한 문제에의 접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