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윤리교육과 의사소통교육의 연계 모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n Essay on the Pedagogic Combination of Ethics and Communication

소병철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71집 2013.12 pp.349-37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essay is to tentatively present a pedagogic program to combine ethics as an academic liberal arts course and communicative approach. As is generally known, the duty of ethics is to make a sharp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evil, right and wrong, based on the indomitable critical spirit of philosophy as its mother science. Today, it must establish itself as the last bulwark to defend the public heritage of higher education and our right to think against the one-dimensional domination of economic rationality. And the ethics education in universities must meet such needs of the times by endeavoring to restore the students's right to think autonomously and to communicate democratically to them. This is because the old-fashioned indoctrinating education which stuffs their head with the stereotyped 'truths' is very likely to damage their ability to think critically far from expanding it. And this is why I think that dynamic discussion is more suitable as the method of ethics education than one-way lecture. Students attending an ethics class must not be regarded as the 'trainees' who are to be filled with the value-free informations and skills. On the contrary, they must be regarded as the 'parties' concerned in this and that communication dealing with the various value-laden problems. In this respect, the significance of dialogue for philosophy and ethics is not 'peripheral' or 'additional,' but 'constitutive.' Based on this critical mind, I will diagnose the lack of communicative methodology as the most serious problem of the present ethics education, and then present a tentative class program to combine ethics education and communication education as a pedagogic solution for it.

한국어

이 글의 목적은 대학에서의 교양윤리교육과 의사소통교육을 연계하는 수업 프로그램을 시론적으로 제시해 보려는 데 있다. 선악(善惡)과 정사(正邪)를 준별하는 일을 본업으로 하는 윤리학은 오늘날 그것의 모(母)학문인 철학의 비타협적 비판정신에 따라 경제적 합리성의 일차원적 지배질서에 대항하며 고등교육의 공공적 유산과 사고할 권리를 지켜 낼 최후 보루의 하나로 다시금 새롭게 자리매김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대학의 교양윤리교육은 그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자율적으로 사고하고 민주적으로 서로의 의사를 소통할 권리를 학생들에게 되돌려 주려는 자구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화석화된 ‘진리’의 전달에 치중하는 구래의 주입식 교육으로는 비판적 사고력의 형성이라는 교양교육의 핵심 목표를 도리어 그르치게 될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논자가 윤리수업의 운영방법으로 토론이 강의에 우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다. 윤리수업에 출석한 학생은 중성적 정보들을 주입할 ‘수강자’가 아니라 상징을 이해하고 해석하며 대화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의사소통의 ‘당사자’여야 한다. 그러한 점에서 철학과 윤리에 대한 대화의 의의는 ‘주변적’이거나 ‘부가적’인 것이 아니라 ‘구성적’인 것이다. 논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글에서 우리나라 대학의 윤리교육이 안고 있는 주요한 문제점을 의사소통적 방법론의 부재로 진단한 다음, 이 문제를 해결할 교수법적 방책의 하나로 윤리교육과 의사소통교육의 연계를 요체로 하는 수업 프로그램의 시안을 제시해 보려고 한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윤리에 대한 대화의 ‘구성적’ 의의
3. 윤리교육과 의사소통교육의 연계 모델: 하나의 시안
1) 주제강의
2) 독해연습
3) 발표와 토론
4) 논술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소병철 Byungchul So. 경기대학교 교양학부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