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儒)・불(佛)의 소통 가능성 탐구 – 위진남북조시대 예법문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 With The Courtesy Debate In The Wei(魏)-Chin(晋)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

강규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uddhism had trouble with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because Buddhism which originated in India was different from it. How was friction caused by differences between Buddhism and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happened and solved? Maybe the course of solving differences is to imply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With this question, this thesis sought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by considering the courtesy debate in the Wei(魏)-Chin(晋)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The courtesy debate started with the formal difference of Buddhism courtesy against Confucianism. It can be said that this is a case of showing apparently differences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because the formal difference is true. But, debate on etiquette with royalty, which is one example of the courtesy debate, shows that the courtesy debate implies that Confucianism, which is principle of traditional nation, and Buddhism can be possible to communicate. To overcome the opposition must be not to aim the uniformity. The result not to aim the uniformity can be shown by the courtesy debate. Confucianism and Buddhism had a chance to communicate with the courtesy debate, but the result was vague. In other words,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opinions on the courtesy of both, and it can be classified two opinions of making Buddhism courtesy subordinate to Confucianism courtesy and the opposite, and two opinions could not harmonize. Nevertheless,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because the opinions share the thought system to recognize the upper category of coll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both.

한국어

불교는 인도 문화권에서 기원하여 전래된 외래 사상으로 그 이질성으로 인해 중국 고유사상과의 마찰이 자연스럽게 발생했다. 불교와 중국 고유사상 간의 이질성으로 인한 마찰은 어떻게 표면화되었고 어떻게 해결되었을까? 또한 이질성의 해결 과정은 곧 소통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은 아닐까? 이 논문은 이 물음에 입각하여 위진남북조 시대의 예법문제를 고찰함으로써 유교와 불교의 소통 가능성에 대해 탐구했다. 예법 문제는 불교 예법이 갖는 중국 전통 예법과의 형식적 차이에서 비롯된다. 그 차이는 사실로서 절충의 여지가 없어 보이므로 이질성이 단적으로 드러나는 하나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예경논쟁의 사례에서 나타나듯이 예법문제는 예교질서를 근간으로 형성된 전통국가의 이념으로서의 유교가 불교와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소통을 통해 대립을 극복한다는 것, 그 의미는 획일화를 지향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하며, 획일화의 지향이 아닌 지양의 결과를 예법 문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한 것이다. 그런데 예법문제에 있어서 유교와 불교는 소통의 과정을 거쳤지만 그 결과는 분명하게 정립되지 않았다. 양자의 예법이 예법으로서 갖는 본질적 의미에 대해서만 여러 가지로 해석함으로써 예법의 형식적 차이로 인한 대립성을 강화하여 전통 예법으로 획일화시키거나 혹은 그 대립성을 약화시켜 불교 예법의 고유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을 뿐이다. 다만 이러한 경향을 일관하는 공통적인 점은 발견된다. 그것은 바로 대립적 사항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그 대립 쌍을 수렴하는 상위 범주에 대한 인식적 공유가 형성된 경우가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적 공유로 인해 단복, 예경문제에서와 같은 유교와 불교의 소통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목차

요약문
1. 시작하는 말
2. 예법문제에 관한 여러 견해
1) 예법에 관한 최초의 문답
2) 단복거식 문제
3) 예경문제
3. 맺는 말 : 소통 가능성의 실마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규여 Gyu Yeo, Gang. 전남대학교 철학과 강사・호남불교문화연구소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