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역』의 결정정미(潔精靜微)에 관하여 - 주자(朱子)의 해석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On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in the Chu Hsi’s I Ching

백은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enerally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means the utlity of the book of the change. Chu Hsi Regard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as a divinity word.. literally he maintained that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means greatness. In case four virtue, Chu Hsi interpreted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as Love. In the languagecal view, Chu Hsi thought that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means not only Greatness Chi but also the origin of Chi. He also thought a apart of stream of Chi. In addition to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means Origin of Life as well as basis of virtue of heaven. In the epistemological view, Chu Hsi thought the real meaning of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is the method. but we can’t explain what is the real meaning of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in word. but we can know the sign of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in the text of the book of change. In the value view, Chu Hsi thought that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means not only stimulate and responce but also Easy and Simple. Chu Hsi thought that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means the nature of Human as well as the utility of Human. Without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he thought that Human would have degraded in the future. As a result, He asserted that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means the Essence of I Ching. So those who want to be a good reader must have pure and still, refined and subtile as a the virtue.

한국어

본고는 먼저 주자(1130-1200)의 결정정미(潔靜精微)의 일반적 의미를 살폈고, 다음으로 언어이론 측면에서 『주역』의 괘효사와 결정정미(潔靜精微)를 살폈다. 그리고 인식론의 측면에서 결정정미(潔靜精微)의 방법론을 살렸고, 다음으로 가치론 측면에서 결정정미(潔靜精微)와 감응(感應)과 이간(易簡)의 의미를 살폈다. 『주역』을 정의한 것 중에 가장 오래된 것으로 “[『禮記』 「經解」] 『역(易)』의 가르침은 결정정미(潔靜精微)이다.”는 구절이 있다. 공영달은 결정정미(潔靜精微)를 결정(潔靜)과 정미(精微) 두 부분으로 나누어 해석한다. 결정(潔靜)은 음란하지 않음을, 정미(精微)를 궁리와 진성하여 미묘함을 파악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주자는 이 역의 가르침인 결정정미(潔靜精微)가 두 가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한다. 첫째, 결정정미(潔靜精微)는 인위적인 것을 보탤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 결정정미(潔靜精微)는 현공(懸空)으로 처음부터 실재가 있는 것이 아니다. 주자는 언어이론 측면에서 『주역』의 괘효사를 결정정미(潔靜精微)로 파악한다. 그는 『역(易)』의 결정정미(潔靜精微)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나온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는 이(理)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니, 바로 현공(懸空)에 의해 나온 것으로 파악한다. 주자는 괘효사를 상점(象占)으로 이해하고, 이(理)를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래서 주자는 『역(易)』을 결정정미(潔靜精微)한 것이기 때문에 사(事)로 논의하려 하지 않았다. 주자는 인식론의 측면에서 ‘『역(易)』을 공부하는 자세에 관하여(警學)’ 논의하면서 결정정미(潔淨精微)를 강조한다. 주자는 괘효사는 열려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그래서 평상시에는 이 이(理)를 연구해 두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주자는 이 이(理)를 이용할 때는 인의(仁義)와 충신(忠信)일만 가능하다고 본다. 주자는 이 이(理)는 양웅(揚雄)의 태현경(太玄經)과 같이 고정된 것이 아니고 가변적인 것이라고 말한다. 주자는 가치론적 측면에서 『역(易)』의 결정정미(潔靜精微)가 우리를 선악(善惡)에 자연스레 감응(感應)게 하고, 『역(易)』의 결정정미(潔靜精微)가 우리를 이간(易簡)하게 한다고 말한다. 특히 주자는 최고의 도의 효과를 체험한 성인만이 할 수 있는 것이 이간(易簡)이고, 이것이 결정정미(潔淨精微)임을 말한다. 즉 이 성인이 만든 것이 역이고, 이것은 결정정미한 것으로 파악한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결정정미(潔靜精微)의 일반적 의미
3. 『주역』의 괘효사와 결정정미(潔靜精微)
4. 결정정미(潔淨精微)의 방법론
5. 결정정미(潔淨精微)의 가치론(價値論):감응(感應)과 이간(易簡)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백은기 Paik Eunky. 전남대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