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adability of the Book Cover Layout in Pocket Edition : Based on Gestalt’s Visual Laws
초록
영어
This study seeks to look at ways to increase readability, focusing on the layout of book cover of poket edition. The book has a small plate, so it cannot contain various types of components needed for layout and is not easily visible to the reader.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propose a plan for a more efficient layout by using Gestalt’s visual law, which seeks to see what is seen mainly the familiar, concise, and the flow of gaze.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book cover editorial design of a representative library publisher,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yout components that make up the book cover and the visual laws of Gestalt. Among best sellers and steady sellers in April 2019, the publisher analyzed open books, mind-set books, minumsa, Munhakdongne and four new book publisher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library book, which properly utilized the visual laws of Gestalt, was highly readable. Among them, it can be seen that the layout through the use of line illustrations-oriented images, the scalability of the ground using large titles, expansion colors and diffuse colors, the maximum margin utilization, the sense of unity, and emphasis is appropriate for the document boar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 proposed a plan for developing the design of editing pocketbook cover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문고본 도서의 북커버 레이아웃을 중심으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문고본 도서는 판형이 작아 레이아웃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다양한 형태로 담을 수 없고 독자의 눈에도 잘 띄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보이는 것들을 익숙한 것, 간결한 것, 시선의 흐름 위주로 보려고 하는 게슈탈트의 시각법칙 을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레이아웃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북커버를 이루는 레이아웃 구성요소와 게슈탈트의 시각법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대표적인 문고본 도서 출판사의 북커버 편집디자인을 분석하였다. 출판사는 2019년 4월 베스트셀러와 스테디셀러 중 문고본 도서 출판사인 열린책들, 마음산책, 민음사, 문학동네 와 새로운 문고본 도서 출판사 4곳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게슈탈트의 시각법칙을 적절히 활용한 문고본 도서가 가독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 도 라인 일러스트 위주의 이미지를 이용하고, 큰 제목, 팽창색과 난색을 활용한 지면의 확장성, 최대한의 여백 활 용, 통일감, 강조를 통한 레이아웃이 문고본 판형에 적당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향후 문 고본 도서의 북커버 편집디자인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북커버 레이아웃의 구성 요소
2. 게슈탈트의 시각법칙이론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