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민주주의 참여’와 선거 저널리즘 -시민이 갖춰야할 민주주의 규범과 언론의 관계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Democratic Engagement and Political Journalism

김춘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plored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engagement and the role of news media in the election, but also what routines of political journalism make a poor civic democratic engagement,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O-S-O-R’ model, various studies of media effects on political belief and action, and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of coverage of Korean presidential elections after democratization in Korea. Ideally, political journalism suitable for the democracy ought to contribute to informed citizenship by providing a variety of perspectives on the important issues in the election. In this context, the study urges that the professional political journalism in practice should be reconsidered.

한국어

참여 민주주의는 책임과 가치를 토대로 한 합리적 선택을 중시하는 시 민들에 의해 운영된다. 시민의 민주주의 참여 수준을 높이려면 유권자들 이 일정한 수준의 숙련된 능력과 자원을 갖추어야만 한다. 전통적으로 언 론은 시민의 민주주의 참여 제고에 반드시 필요한 조건 변인이다. 이 글 은 정치커뮤니케이션의 효과가 조건적이라고 설명하는 모델에 포함된 정 치정향성 변인들(정치세련도, 정치 관심, 정치 지식), 그리고 민주주의 시 민이 갖추어야 할 핵심 정치 규범인 정치 효능감과 정치 신뢰가 미디어와 지니는 연관성을 살핀다. 특히 선거 영역에서 시민의 민주주의 참여를 저 해하게 하는 저널리즘의 부적절한 관행이 무엇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고민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민주주의 참여와 유권자
2. 민주주의 참여와 언론
3. 시민의 민주주의 참여와 선거 저널리즘
4. 언론은 시민의 민주주의 참여를 도와야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춘식 Chunsik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