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희철학에서 실천덕목으로서 敬개념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the Gyeong-concept as a practical virtues mentioned in the Chu Hsi’s philosophy

방경훈, 김치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ith doing Gyeong(敬) straighting the inside of mind, it gets the nature of human to be whole. Straighting up the inside of mind by doing Gyeong make Sim(心) to be whole, Seongjeong(性情) being done in a reason. The Jiknae(直內) of Gyeong’s the first principle have the jeong to be revealed get to the reason of Jung. and Getting to the reason of Jung(中) assumes human nature has been cultivated wholly, Straighting up the inside of mind by doing Gyeong means human nature might be already cultivated intactly. No being biased and tied by doing Gyeong is also surely Heo(虛). Eventually Gyeong, Jik and Heo is the one-Study. To be the one of Seong-IChi(理致) and Cultivating is that it would be whole in the thinking and acting. So first of all, perceiving brightly IChi has main dependence on Jisu(持守) which can gather up Sim. The Jisu is the core method of Cultivating, setting up the Will with the main of doing Gyeong, replying to the reason(事理) with the way of criticism[義理]. But first of all, IChi should be been pursuing because Gyeong is coherent to DongJeong(動靜) entirely. But doing Gyeong and seeking IChi help realize each other, Ju-Gyeong(主敬) covering the Cultivating of Mibal and the great effort(力行) of Ibal together. Ju-Gyeong as the unification of the Cultivating and IChi is the principle of the ordinary times and continuation that is operated identically in all the situations. Sim can rule over everything by Gyeong. The purpose of Ju-Il(主一) is to understand the situation-IChi[道理] perfectly, and the ability that can meet to the situation-IChi as the coidentity of NaeOe(內外). Therefore the doing Gyeong can see the roots of acts, and ripen it’s action truly. While ChuHsi(朱子) makes Sim to be the natural ability of self-consciousness that acts in things, and to be self-awareness by Gyeong and Ui together. This is the sense of value judgment that is always consistent with a knowledge and behavior at a good time. As the InUi(仁義) of the highest good, The sense of value judgment that is based on Gyeong has the purpose that makes the good of human’s actualizes the way of criticism[義理之心] in the specific situation. This sense of value judgment has expand the Fact[氣象] of the origin[天理] to be the truthful virtues of human’s which actualize the way of criticism to be absolute[義理之行].

한국어

‘敬하여 안을 곧게 함[直]’은 자신의 본성을 온전하게 하는 것이다. 이는 심을 온전하게[虛一] 하여 인간의 性情을 이치에 맞게 실천하도록 한다. 경의 본체적 의미인 ‘直內’는 情의 발현을 中한 이치에 이르도록 한다. 따라서 ‘중에 이른다[致中]’는 것은 곧 본성이 온전하게 함양되어진 바를 전제함으로, 경으로써 안을 바르게 하면 이미 본성을 온전하게 함양했음을 뜻한다. 또한 경하여 안으로 치우치거나 하는 얽매임이 없으니, 바로 심의 온전함[虛一]이다. 결국 경, 직, 허, 중은 하나의 공부가 된다. 본성인 이치와 함양이 일치하여야 생각과 행함에서 온전할 수 있다. 먼저 이치에 밝으려면 심을 수렴하는 持守를 하여야 한다. 지수는 경을 위주로 하여 뜻을 세우고, 이를 기반으로 의리를 강구하여 일의 이치에 응대한다. 경은 動靜을 일관하기에 항상 양단을 오로지[專一]하려면 먼저 이치를 구해야 된다. 하지만 경함과 이치를 구함은 서로 도와주기 때문에, 未發에서의 함양과 已發에서의 力行이 모두 포괄된 공부가 바로 ‘主敬’이다. 이 ‘경을 주로 함’은 함양과 이치의 일체화로서 항상성과 지속성이 어느 순간에도 동일하게 운영되는 원리이다. 심은 만사의 주재함을 이 경으로 한다. ‘主一’의 목적은 도리를 완전히 알고자 함이며, 이는 내외가 일관 되어 사태의 이치에 응하는 바탕이다. 그러므로 ‘敬함’은 행하고자 하는 바의 근본이 무엇인지 알고, 이를 행동으로 순숙하게 익히게 한다. 이를 주자는 사물에 처해 행하는 본연의 자각기능이 심에 갖추어져 있으며, 敬과 義가 함께하는 자각심으로 규정한다. 이 자각심은 함양에서 앎과 행동에 이르기까지 항상 일관된 가치판단의식으로서 상황에 맞는 행위를 일으킨다. 敬을 근거한 가치판단의식은 仁義의 최선의 상태로서, 그 목적은 인간의 선한 마음을 실제 일에서 마땅하게 확충하여 義理를 구현한다. 이는 본원의 실상이 인간에게서 의리의 마땅함으로 실현되는 인간의 참된 덕이다.

목차

요약문
1. 서론
2. 敬의 유학적 실천의미
3. 실천원리로서 主敬
4. 敬의 실천내용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방경훈 Bang, Gyeong-hun. 성균관대학교 유교철학박사
  • 김치형 Gim, Chi-hyeong. 성균관대학교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