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딜타이 사상에서 실증주의에 대한 이해와 수용

원문정보

To the understand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sitive philosophy in Dilthey's thought

손세훈

범한철학회 범한철학 제84집 2017.03 pp.247-27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딜타이의 철학을 실증주의와 유기체론, 총체성과 같은 독일 관념론에서 주로 쓰인 개념들을 통해 해석학이 가진 과학철학적 의미를 새롭게 고찰해보고자 한다. 딜타이가 속한 철학적 사조인 해석학은 기존의 형이상학적이고 추상적인 철학적 단초들, 예를 들어 신적인 절대이성이라든가 법칙적 지성의 역할과 같은 논의들을 벗어나 인간의 경험과 실천적 관심 속에 파악하였다. 하지만 일종의 착상의 전환이라고 해야 할 이러한 해석학은 그 전 시대 철학계를 풍미한 독일관념론의 대가인 칸트, 피히테, 셸링, 헤겔과 같이 많은 풍부한 자연철학에 대한 사유분석을 수용하였고 특히 과학철학에서 실증주의가 말하는 가설연역과 맞닿아 있다. 실증주의에서 말하는 경험에 바탕을 둔 실천적인 사유나 행위들에 대한 새로운 방식이나 개념찾기는 단순히 영미권에서 일어난 사유철학만이 아니다. 특히 셸링의 철학 안에서 중요한 주제로 자리잡고 있는 실증주의는 딜타이의 해석학 안에서 그 실천적인 측면을 다시 강조한 철학적 운동으로 그 의미를 되살려본다. 실증주의적인 자연인식은 과학을 운동전단계가 원인과 결과로 설정되는 동치관계로 설정된다. 그렇기에 과학은 개념화를 통해 단지 구체적인 예시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이런 동치관계를 파악해 가는 개인의 자의식과 그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일반화를 통해 보다 깊이 있는 현실성을 가지게 된다.

기타언어

In der zweiten Hälfte des 19. Jahrhunderts ist der Positivismus eine der bedeutendsten philosophischen Richtungen. Der Positivismus geht vom Gegebenen aus, nur das Tatsächliche wird untersucht, das Sein der Objekte kann man nicht erkennen, metaphysische theoretische Erörterungen über das Sein werden für unmöglich gehalten. Man war sicher, dass es möglich sein müsste, die ausschließlich auf Gesetze hin ausgerichteten Einzelwissenschaften zu einer natürlichen Ordnung zusammenzuführen. Im Zusammenhang mit der Ausbreitung der Naturerkenntnis hat sich der Positivismus im 19. Jahrhundert zu einer herrschenden Gestalt der Weltanschauung entwickelt. Die Positive Philosophie vermag die Notwendigkeit aufzuweisen. Die Wissenschaft, in der wir uns bewegen, kennt kein anderes Gesetz, als dass alle Möglichkeit sich erfülle, keine unterdrückt werden. Die positive Philosophie ist besonders im deutschen Idealismus eine Vereinigung von Pantheismus und Theismus. philosophy. Dilthey ging von Kant und Hegel aus, welche die Philosophie zur allgemeingültigen Wissenschaft hatten erheben wollen. Schelling gilt als Begründer des Positivismus. Die Voraussetzung von Schellings Transzendentalsystem, das Ganze des Seienden als „fortgehende Geschichte des Selbstbewusstseins“ vorzutragen, besteht also in einer zweifachen Erweiterung des Begriffs des „Ich“ oder der Subjektivität.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 실증주의의 의미
2. 독일관념론의 실증주의적 전통
3. 딜타이의 실증주의와 유기체 철학
4. 셸링의 실증주의와의 연관성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손세훈 Son, Se-hoon.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