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15 개정 교육과정의『윤리와 사상』교과서 분석 - 공자·맹자·순자의 윤리 사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Contents in High School Ethics and Thought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Focusing on the Ethical Thoughts of Confucius, Mencius and Xun Zi

김유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thesis, I examined the contents of high school ethics and thought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essential meaning of propriety(禮) emphasized by Confucius,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virtues(四德)” and “four beginnings(四端)” emphasized by Mencius, and the meaning of Hwaseong-Kiwi(化性起僞) emphasized by Xun Zi. The propriety emphasized by Confucius are described in all five textbooks in the meaning of “external social norm.” Such a description is likely to be misunderstood by learners as the propriety emphasized by Confucius did not originally include the meaning of “heart or spirit of loving and caring for others.” Therefore, I suggest to describe it in the meaning of the “external social norm that originally includes the heart of loving and caring for others.” In all five textbooks, about the four virtues and four beginnings Mencius talked about are described in the meaning of “human being must complete the four virtues through four beginnings.” Such a description is likely to be misunderstood by learners as if Mencius argued that only four beginnings are inherent in humans and four virtues are not inherent in humans. Therefore, I suggest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four virtues and four beginnings in the meaning of “the four virtues that are inherent in humans must be expanded and completed through four beginnings.” The Hwaseong-Kiwi emphasized by Xun Zi is described in various ways in the five textbooks. Therefore, as a way to unify the various expressions in the textbook on Hwaseong-Kiwi, I suggest to describe it in the meaning of “we must change the evil nature and make artificial efforts to create an artificial good.”

한국어

이 논문에서는 공자가 강조한 예(禮)의 본질적 의미, 맹자가 강조한사덕(四德)과 사단(四端)의 관계, 순자가 강조한 화성기위(化性起僞)의의미를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윤리와 사상』5종 교과서의내용을 살펴보았다. 공자가 강조한 예(禮)에 대해 5종 교과서에서는 모두 ‘외면적 사회규범’의 의미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공자가 강조한 예에는‘남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나 정신’이 본래부터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처럼 학습자가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 『논어』를 통해 공자가강조한 예의 본질이 ‘상대방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나 정신’임을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자는 마음이나 정신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예의, 예절, 예법 등의 외면적인 사회 규범인 형식을 통해 남을 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이 적절하게 표현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따라서공자가 강조한 예를 ‘외면적인 사회 규범’으로 기술하기 보다는 ‘남을사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포함하고 있는 외면적인 사회 규범’의 의미로 기술해 보는 것을 제안해 본다. 맹자가 말한 사덕(四德)과 사단(四端)에 대해 5종 교과서에는 모두‘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나는 사단을 통해 사덕을 완성해야 한다.’는취지로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맹자가 인간에게는 선천적으로사단만 내재되어 있고 사덕은 내재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한 것처럼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 『맹자』를 통해 맹자가 ‘사덕은 인간이 본래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다.’고 주장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맹자가 말한 사덕과 사단의 관계에 대해 ‘인간에게 본래 선천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사덕을, 사덕의 싹인 사단을 통해 확충하여 완성해야 한다.’는 취지로 기술해 보는 것을 제안해 본다. 순자가 강조한 화성기위(化性起僞)의 기위(起僞)에 대해 5종 교과서에서는 ‘선(善)을 일으킨다.’, ‘인위를 일으킨다.’, ‘인위적으로 교화한다.’, ‘선하게 교화하려는 노력’ 등으로 다양하게 기술하고 있다. 『순자』를통해 순자가 강조한 화성기위(化性起僞)의 위(僞)에는 ‘마음의 사려 작용을 통해 감각 기관의 작용을 올바르게 운용하는 인위적인 노력’의의미와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서의 ‘인위적인 선(善)’의 의미가 함께 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화성기위에 대한 교과서의 다양한표현들을 통일시키는 방안으로 ‘악한 본성을 변화시켜 인위적인 노력을 일으켜서 인위적인 선(善)을 일으켜야 한다[화성기위(化性起僞)].’는의미로 기술해 보는 것을 제안해 본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공자가 강조한 예(禮)의 본질
Ⅲ. 맹자가 강조한 사덕(四德)과 사단(四端)의 관계
Ⅳ. 순자가 강조한 화성기위(化性起僞)의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유곤 Kim, You-Gon. 전북대학교 윤리교육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