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吾輩は猫である』における人称詞の一考察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sonal Reference Terms of in “I am a cat”

朴孝庚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personal reference terms in the novel “I am a cat.” The person-to-person pronouns of modern Japanese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at of European languages. This study is an attempt to look at how those difference have historically occurred. As a feature of this study, the self-styled first person, the symmetric second person, and the third person reference terms in “I am a cat” were divided into the text and the dialogue. In this novel, since the text is tol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c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it from the person-to-person expressions that are shown in the conversations between the human characters. Firstly, the pronoun of ‘wagahai’ was overwhelmingly used in the first person's text. Although it was not a common first-person pronoun in the 30s of the Meiji period, it was deliberately used as the cat's first-person pronoun, indicating the speaker's haughty and arrogant attitude. This shows the satire and humor of this work. On the other hand, in the dialogues, the first person pronouns that were widely used were in the order of ‘boku, watashi, and ore’. Also, the first person pronouns of the male speaker were used in a variety of ways (‘washi, atashi’, etc.). ‘Syogun’ was also used in the second person's text. In common novels, second-person pronouns are rarely used in text, but in this novel, they are used in situations where the cat talks directly to the readers. In dialogues general nouns such as ‘sensei’ (teacher) and ‘okusan’(Mrs.) were often used in the second person, and in many cases, suffixes (‘san, kun, shi, ko’ etc.) were also used, in addition to the person-to-person pronouns such as ‘kimi, anata, omae, ome-, ometti, kisama’ etc. Future tasks related to personal reference terms could also be identified. In the first person,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distinction of ‘onore’ and ‘jishin, jiko, jibun’ which were newly introduced by translation. In the second person, it is necessary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gender-based usage of ‘~san・~kun’. Finally, in the third person form, it is the future task that is used to identify the reasons why ‘kanozyo’ was not used (unlike ‘kare’).The causes and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 expressions consisting of “demonstrative + woman” have also been used in large quantities. This study will focus on all of these refrence term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의 인칭 표현에 대해 고찰하였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에 나타난 자칭(1인칭), 대칭(2인칭), 타칭(3인칭)의 인칭사를 지문 과 대화문을 나눠 고찰하였다. 지문은 고양이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진행되기 때문에 인간들 사이의 회화문에 나타나는 인칭표현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분류를 기준으로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인칭의 지문에는 ‘吾輩’가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메이지 30년대에 일반적으 로 많이 사용하는 1인칭 대명사가 아니었으나, 고양이의 1인칭 대명사로 화자의 거만한 태도 를 나타내는 ‘吾輩’를 일부러 사용한 것이다. 이 부분에서 이 작품의 해학이 가장 잘 드러난 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회화문에 사용된 1인칭은 僕・私・おれ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그 밖에도 わし・手前 등도 사용되었는데, 남성 화자의 1인칭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2인칭의 지문에는 諸君이 사용되었다. 일반적인 소설에서 2인칭 대명사가 지문에 사 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나, 고양이가 독자에게 직접 말을 거는 상황에서 사용된 것이다. 한 편 회화문에서는 君・ あなた・御前・ おめえ・おめっち・きさま 등의 인칭대명사 이외에 先生、奥さ ん 등의 일반명사도 2인칭으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사람의 성이나 이름 혹은 직업명에 접미사 さん・くん・子(し) 등을 붙여서 2인칭으로 사용한 경우도 많았다. 셋째, 3인칭의 지문에는 彼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회화문에는 지시어에 人・男・女 등의 명사가 붙어 사용되는 예가 많았다. 彼의 문어적인 성격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다만, 彼 와 짝을 이루는 彼女의 용례는 지문과 회화문에 각각 1번밖에 나오지 않았고, 지시어+女・ 娘・婦人와 貴婦人方, 淑女, 貴女, 女連 등 다양한 단어가 사용되었다는 특징이 있다. 향후의 과제로는 1인칭과 ‘재귀대명사’와의 관계, 「おのれ」와 번역에 의해 새롭게 등장한 「自身・自己・自分」의 구별 및 정착 과정에 대해서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2인칭은 기 존의 인칭대명사 이외에도「~さん・~くん ~し」 등의 접미사가 붙은 표현의 사용 양상에 대해서도 좀 더 본격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3인칭은 지시어+여성을 나타내는 명사의 대량 출 현에도 주목하여 그 원인과 정착과정을 밝히는 것을 들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はじめに
2. 先行研究
2.1. 人称関連
2.2. 近代の人称関連
3. 『吾輩は猫である』の人称関連表現
3.1. 自称
3.2. 対称
3.3. 他称
4. 終わりに
<参考文献>
<국문요지>

저자정보

  • 朴孝庚 박효경. 漢陽サイバー大学校 日本語学科 助教授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